컨텐츠 바로가기

11.26 (화)

이슈 우리들의 문화재 이야기

태안 갯벌서 나온 조선 초 궁궐 용머리 장식기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지난달 발굴한 '취두' 상단·'검파' 공개

"조선 전기 왕실 건축물 세부 모습도 고증 가능"

뉴스1

충남 태안군 남면 양잠리 청포대 갯벌 일대에서 출토된 취두.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제공) ©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조재현 기자 = 조선시대 전기 용머리 장식기와(취두·鷲頭)의 완전한 형태가 처음 확인됐다.

이 유물은 조선시대 전기 건축물의 세부 모습에 대한 실질적인 고증이 가능한 유일한 자료로 평가된다.

29일 문화재청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는 올해 5월 충남 태안군 남면 양잠리 청포대 갯벌 일대에서 발굴한 '취두' 상단과 취두 상단에 부착하는 칼자루 모양 장식품 '검파'(劍把)를 국립고궁박물관에서 공개했다.

뉴스1

충남 태안군 남면 양잠리 청포대 갯벌 일대에서 출토된 검파.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제공)©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날 공개한 취두 상단은 지난 2019년 조개를 캐던 주민이 발견해 신고한 취두 하단과 결합하는 유물이다. 검파는 지난해 6월 연구소가 인근 지역에서 추가로 발굴한 또 다른 취두 유물과 쌍을 이루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를 통해 조선 전기 용마루에 올라간 용머리 취두 전체의 온전한 형태를 처음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됐다.

같은 시기 건물을 수호하거나 권위를 돋보이게 한 특수기와 연구에서도 중요한 자료를 확보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뉴스1

취두와 검파 발굴조사 위치도.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제공) ©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뉴스1

조선시대 궁궐(창덕궁 명정문) 지붕의 장식기와. (문화재청 제공) ©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특히 경복궁 창건기 건물 및 숭례문, 양주 회암사지 등 조선 전기 왕실 관련 건축물의 세부 모습에 대한 실질적인 고증도 가능할 것이란 평가다.

검파는 길이 40.5㎝, 폭 16㎝, 두께 7㎝ 크기의 칼 손잡이 모양이다. 앞뒷면에 2단으로 구름무늬가 표현돼 있고, 취두 상단의 방형 구멍과 결합하도록 짧은 자루도 갖추고 있다.

검파는 빗물이 취두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막는 실용적인 용도로 사용됐다. 취두에 표현된 용이 지붕을 물고 있어 더 이상 용마루를 갉아 먹지 말라는 의미도 있다고 전해진다.

이번에 발굴된 구름무늬 검파는 현재 창덕궁 인정문 등 조선 후기 궁궐의 취두에 일부 남아있는 간략한 봉 형태의 검파와 차이가 있다.

뉴스1

조선 후기 궁궐인 창덕궁 인정문의 취두. 검파의 형태가 단순한 봉 형태로 돼 있다. (문화재청 제공) © 뉴스1


또한, 한 쌍의 취두 하단부에 부조된 용 문양의 표현에서도 갈퀴의 표현 방식과 구레나룻 사이의 돌기 개수 등이 차이를 보인다.

이러한 양상은 조선 전기만 해도 규격화된 형태의 용의 도상(圖像)을 마련, 이를 엄격하게 적용한 결과라고 해양문화재연구소 측은 설명했다.

해양문화재연구소 관계자는 "8월 중순까지 해당 지역에서 추가 발굴 조사와 수중탐사를 진행해 관련 유물이 더 있는지 확인하고, 동시에 이 일대 해역의 고선박 존재와 왕실 장식기와의 생산·유통 등에 관한 연구도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cho84@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