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20 (금)

코로나19 당시 '동남권 지역' 월급쟁이들, 자영업에 뛰어들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지난해 자영업자 2년 만에 3.0% 증가... 60대 이상 고령 자영업자 비중 확대

더팩트

코로나19 여파 이후 동남권 고용시장은 악화됐다. 대다수 임금근로자들이 자영업 시장으로 진입했기 때문이다. /BNK경제연구원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더팩트ㅣ부산=조탁만 기자] 코로나19 여파 이후 동남권 고용시장은 악화됐다. 대다수 임금근로자들이 자영업 시장으로 진입했기 때문이다.

BNK금융그룹 소속 BNK경제연구원이 9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코로나19 이후 동남권 자영업 변화 특징’ 연구보고서를 발표했다.

이 보고서를 보면 2019~2021년 동남권 자영업자는 2만6000명 증가(3.0%)했다.

동남권 지역 임금근로자 중 상당수가 자영업 시장으로 신규 진입한 게 주요한 원인으로 보인다.

같은 기간 동남권 임금근로자수는 7만명 줄었으며 감소율은 -2.5%에 달한다.

전국과 사정은 반대다. 전국의 경우 같은 기간 자영업자가 9만3000명 감소(-1.7%)한 반면 임금근로자수는 31만명 증가(1.5%)했다.

동남권 임금근로자 감소는 지역 주력 제조업 업황 부진과 연계된 고용여건 악화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같은 기간 동남권 자동차산업과 조선산업 취업자수는 코로나19에 따른 생산 차질, 수요 감소 등으로 각각 -9.5%, -13.3% 줄었다.

업종별로는 통신판매업 사업자수가 비대면 기조 강화, 전자상거래 활성화 등에 힘입어 65.8%의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이어 커피음료점(40.7%), 펜션‧게스트하우스(40.3%), 교습소‧공부방(35.5%), 스포츠시설운영업(31.8%) 등이 높은 증가세를 보였다.

반면,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와 직장 회식문화 변화 등의 영향을 직격으로 받은 간이주점(-26.3%), 호프전문점(-17.0%), PC방(-16.4%)이 크게 줄었다. 이밖에 노래방(-11.9%)과 구내식당(-11.2%)도 감소율을 기록했다.

연령별로는 고령 자영업자 비중이 크게 늘었다. 60대 이상의 고령 자영업자 비중은 2019년(28.4%)에 비해 2021년(31.6%)이 3.2%p 높았다.

BNK경제연구원 관계자는 "경제권역 중 고령 자영업자 비중이 가장 높은 경제권역의 특징을 계속해서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영세 자영업자로 분류되는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도 빠르게 늘어났다.

동남권의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는 2019~2021년중 63만명에서 68만7000명으로 9.0% 늘어났다.

이는 전국 평균 증가세(3.4%)를 크게 웃도는 수치다.

한편, 코로나19 이후 동남권의 소상공인 체감경기지수는 2019년보다 2021년 -26.8% 감소한 것으로 조사돼 자영업 체감경기는 악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면 서비스 중심인 숙박음식점업과 여가서비스업의 동남권 생산지수도 각각 -19.2%, -24.1% 감소했는데, 같은 기간 서비스업 전체 생산지수(-0.4%)에 비해 매우 큰 감소폭으로 이는 대면 서비스업 관련 자영업자의 피해가 더욱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BNK경제연구원 관계자는 언급했다.

또한 자영업 침체는 지역 상업용 부동산 시장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동남권 상가 공실률은 2019년 4분기 13.1%에서 2021년 4분기 16.4%로 3.3%p 증가했다. 이는 전국(2.2%p)보다 높은 상승폭이다.

BNK경제연구원 정영두 원장은 "최근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에 따른 소비심리 개선, 지역관광 활성화 등으로 자영업 회복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며 "자영업이 활력을 되찾을 수 있도록 정부 및 지자체뿐만 아니라 지역사회, 기업 등의 관심과 지원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hcmedia@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