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7 (토)

野 "용산 대통령실 졸속 이전 4대강 악몽 떠올라"…26일 총집결 집회

댓글 2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미정상회담, 협소한 집무실서 회의…국격 훼손"

용산공원 개방 철회에 "발암물질 검출 문제…국민 안전 뒷전"

뉴스1

김민석 더불어민주당 선거대책위원회 공동총괄본부장 2022.4.13/뉴스1 © News1 이재명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박혜연 기자 = 더불어민주당은 22일 윤석열 정부의 대통령 집무실과 관저 이전을 '졸속'이라고 비판하며 오는 24~26일 차례로 현장 점검과 대국민 호소, 총집결 집회에 나선다고 밝혔다.

김민석 민주당 선거대책위원회 공동총괄본부장을 비롯해 김영배·고민정·김병주 의원은 이날 오후 민주당 당대표회의실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용산파괴저지 및 용산미래 100년 지키기 운동본부'(이하 용산본부)를 출범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용산본부는 "윤석열 정부의 반지성적 집무실 이전으로 서울시민의 일상이 위협받고 있다"며 "민주당은 윤석열 대통령과 오세훈 시장에게 대통령 집무실 졸속 이전으로 인한 서울시민들의 불편과 용산 개발 차질, 안보공백 및 국방력 약화에 책임을 묻고자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Δ교통통제로 인한 출퇴근 불편 및 집회·시위 소음문제 Δ용산일대 개발·정비 차질 및 각종 규제 Δ외교부 공관 리모델링, 국방부 청사 신축 등 연쇄적 예산소요로 인한 1조원 혈세 낭비 등을 우려하며 "잘 꾸며진 허위 조감도를 통해 장밋빛 전망을 제시했으나 현실은 녹조라떼였던 4대강 사업 악몽을 떠올리게 한다"고 꼬집었다.

용산본부는 김대기 대통령비서실장에게 "대통령집무실 용산 이전과 관련한 면담을 공식 요청한다"며 "지금이라도 대통령집무실 이전을 위한 마스터플랜을 즉각 공개해야 한다. 만약 마스터플랜이 없다면 국회와 함께 100년 용산을 위한 협의체 구성을 통해 치밀한 계획을 바탕으로 집무실 이전을 추진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용산본부에 따르면 민주당은 24일 아침 실제 용산 인근 출퇴근길 현장을 방문하고 25일은 중앙 선대위 차원에서 기자회견과 대국민 호소를 진행할 계획이다.

26일은 오전 11시30분부터 온·오프라인으로 시민 버스킹을 진행하면서 오후 5시 이후 중앙 선대위와 송영길 민주당 서울시장 후보 선대위가 참여하는 '대역전 총집결 집회'를 벌일 예정이다.

고민정 의원은 "될 수 있으면 현장 모습을 가감없이 보여드리는 것을 하려고 여러 가지 방안을 기획 중에 있다"며 "국회에서 필리버스터를 통해 의견을 개진한다면 시민들이 용산으로의 대통령실 졸속 이전과 일상 파괴에 대해 소회와 제안을 나누는 '시민 필리버스터'가 릴레이로 진행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선대위 안보대변인을 맡고 있는 김병주 의원은 이날 오후 국회 소통관에서도 기자회견을 통해 "(한미정상회담도) 급조한 대통령실로 인해 격에 맞지 않는 조악한 건물에서 귀빈을 맞고, 협소한 임시 집무실에서 회의를 하고, 강당에서 기자회견을 진행하는 등 행사의 격도 떨어졌다"고 비판했다.

김 의원은 "대통령실 졸속 이전으로 국민께 피해가 돌아가고, 국격 마저 훼손하고 있다"며 "윤석열 정부의 사과와 대책을 요구한다"고 강조했다.

민주당은 또 윤석열 정부가 '소통'을 내세워 대통령집무실 이전과 함께 추진됐던 용산공원 시범개방마저 환경 문제 때문에 철회됐다며 "보여주기식 졸속 개방"이라고 공세를 펼쳤다.

오영환 선대위 대변인은 이날 국토부가 '편의시설 사전준비 부족'을 이유로 철회한 용산공원 시범개방에 대해 "잠정 연기된 진짜 이유는 뻔하다"며 "공원 부지에서 기준치가 넘는 발암물질이 검출돼 오랜 시간 체류할 경우 인체에 유해한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오 대변인은 "추진 초기부터 발암물질 검출에 대한 문제 제기가 있어왔다는 점에서 예견된 결과"라며 "정부는 대통령 집무실 이전을 정당화하기 위해 국민 안전은 뒷전이고 보여주기식으로 졸속 개방을 추진해왔음을 인정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hypark@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