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그룹, 55억달러 전기차 공장 이어 바이든 면담서 50억달러 추가투자 발표
전기차 공장에 더해 로보틱스·자율주행SW·UAM·AI 등 미래 먹거리에 집중투자
정의선 "지속적 지지 정중히 요청"…바이든, 땡큐 연발하며 "실망시키지 않을 것"
![]() |
바이든 미국 대통령 만난 정의선 현대차 회장 |
(서울=연합뉴스) 조성흠 김보경 오지은 기자 =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22일 미국에 2025년까지 로보틱스 등 미래 먹거리 분야에 50억달러(약 6조3천억원)를 추가로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정 회장은 이날 오전 서울 그랜드 하얏트 호텔에서 방한 중인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면담한 자리에서 영어 연설을 통해 이러한 계획을 공개했다.
정 회장은 "다양한 기술 분야에서 미국 기업과 협업을 강화하기 위해 2025년까지 50억달러의 추가 투자를 계획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가 밝힌 추가 투자 분야는 로보틱스와 도심항공모빌리티(UAM), 자율주행 소프트웨어(SW), 인공지능(AI) 등이다. 이들 분야의 미국 현지 기업에 더욱 투자를 늘리거나 새롭게 투자해 협업을 이어가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정 회장은 "이를 통해 (현대차그룹이) 고객에게 더 좋은 편의성과 안전을 제공하는 회사로 성장할 수 있다"고 자신했다.
미국 자율주행업체 앱티브와 '모셔널'을 합작 설립해 자율주행 상용화를 추진하고 있고, 세계 로봇 기업인 보스턴 다이내믹스를 인수해 로봇 개 '스팟' 등을 선보이는 한편 워싱턴DC에 UAM 독립법인인 '슈퍼널'을 설립해 연구개발을 진행 중이다.
![]() |
마스크 벗는 바이든 대통령-정의선 회장 |
현대차그룹은 전날 발표한 55억달러를 더해 미국에 총 105억달러(약 13조4천억원)를 신규 투자하게 됐다. 현대차그룹은 전날 미국 조지아주에 전기차 전용 공장과 배터리셀 공장 등 전기차 생산 거점을 설립하기로 발표한 바 있다.
현대차그룹의 이번 미국 투자는 바이든 대통령의 방한 기간(20∼22일)에 전격적으로 발표됐으며, 특히 50억달러 추가 투자의 경우 이날 오전 바이든 대통령이 지켜보는 데서 나왔다.
이번 방한 기간 우리나라 기업인 가운데 바이든 대통령과 단독으로 면담하고 투자 발표까지 한 것은 정 회장이 유일하다. 정 회장은 발표 시간 전후로 바이든 대통령과 35분 정도 독대했다. 발표까지 합쳐 두 사람의 만남 시간은 50여분에 달했다.
정 회장은 바이든 대통령을 향해 "방한 기간 시간을 내줘서 매우 감사하다. 진심으로 영광"이라고 언급했다.
![]() |
정의선 "로보틱스·자율주행SW 등 美에 50억달러 추가 투자" |
정 회장에 이어 연단에 선 바이든 대통령은 "미국을 선택해준 데 대해 감사하며 미국은 현대차[005380]를 실망시키지 않을 것"이라고 화답했다.
또 "현대차를 비롯해 미국에 투자하는 어떤 회사든 가장 숙련된 성실한 근로자와 협력하는 데 따른 큰 이익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 |
바이든 미국 대통령, 정의선 현대차 회장 면담 |
정 회장은 이날 현대차그룹과 미국의 오랜 협력 관계를 강조하기도 했다.
그는 "현대차그룹은 미국에서 40년 가까이 10만개 이상의 일자리를 창출하면서 미국의 자랑스러운 기업 시민이 돼 왔다"고 말했다.
또 전날 발표한 조지아주 전기차 생산 거점 투자에 대해 "우리의 첫 전기차 전용 생산 시설"이라며 "현대차그룹은 조지아주의 새로운 공장에서 미국 소비자를 위한 고품질의 전기차를 생산하면서 미국 자동차 시장에서 선두가 될 것임을 확신한다"고 덧붙였다.
min22@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