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2 (금)

이슈 정치권 보수 진영 통합

보수대통령 첫 ‘민주의 문’ 입장… 여야 손잡고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윤석열 대통령이 18일 5·18 유족들과 함께 광주 북구 5·18 민주묘지 민주의 문을 통해 입장하고 있다.광주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은 18일 오전 9시 50분 5·18민주화운동유족회장 등 유가족 단체와 함께 광주 북구 국립 5·18 민주묘지의 정문인 ‘민주의문’을 통과했다. 국민의힘 지도부와 소속 의원 대다수는 제42주년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에서 ‘임을 위한 행진곡’을 제창했다. 보수 정권에서 사상 처음 있는 일이다. 앞서 윤 대통령이 후보 시절 지난해 11월과 올 2월, ‘전두환 옹호’ 발언에 항의하는 5·18단체와 광주 시민에게 가로막혀 추모탑에서 멀찍이 떨어진 채 묵념하고 발걸음을 돌린 것과는 대조적인 분위기였다.
서울신문

尹, 기념사 직접 퇴고 - 윤 대통령이 18일 아침 광주로 출발하기 전 서울 용산 대통령 집무실에서 광주 5·18 민주화운동 기념사를 직접 퇴고하고 있다.대통령실 제공


오전 9시 15분쯤 광주송정역에 도착한 윤 대통령은 ‘오월을 드립니다’라는 글귀가 적힌 하얀 마스크를 착용한 모습이었다. 윤 대통령은 기념식을 위해 특별 편성된 광주행 KTX를 타고 이동했는데, 추경호 총리 대행과 장관들, 대통령실 참모진, 국민의힘 의원 등이 동승했다. 윤 대통령은 열차에서 의원들에게 인사하며 “국민통합의 길에 함께해 줘서 감사하다”고 말했다. 기념식에는 이준석 대표와 99명의 소속 의원들이 동행했으며 보수정당 정치인 참석으로는 역대 최다다.
서울신문

- 기념사 초안에 없던 “자유민주주의와 인권의 가치는 우리 국민을 하나로 묶는 통합의 철학입니다”라는 부분을 윤 대통령이 직접 추가한 모습.대통령실 제공


윤 대통령은 민주의문 안에서 방명록에 ‘오월의 정신이 우리 국민을 단결하게 하고 위기와 도전에서 우리를 지켜 줄 것’이라고 썼다. 이어 참배 대기실로 이동한 윤 대통령은 5·18 유공자 유족과 가진 4분 동안의 비공개 환담에서 기념식에 매년 참석하겠다는 뜻을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전재수 열사의 유족 전재룡씨가 ‘매년 오실 수 없겠느냐’고 묻자 윤 대통령이 이같이 답한 것이다.

윤 대통령은 이후 학생 대표, 유족 대표, 황일봉 부상자회장, 박해숙 유족회장, 임종수 공로자회장 등과 함께 민주광장과 추념문을 지나 기념식장에 입장했다. 대통령의 좌석 양옆은 황 회장, 유족 박금숙씨가 자리를 지켰으며 행사 시작 직후 윤 대통령은 추모탑 앞에서 헌화 및 분향했다.

이어진 기념사에서 윤 대통령은 원고에는 없던 “자유와 정의, 그리고 진실을 사랑하는 우리 대한민국 국민 모두는 광주 시민”이라는 문구를 마지막에 추가했다. 대통령실은 “대통령이 광주로 향하면서 1963년 6월 베를린을 방문한 케네디 미국 대통령의 유명한 연설을 떠올렸으며 그 생각을 즉석에서 포함시킨 것”이라고 설명했다.

행사의 마지막 순서인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 때 윤 대통령은 자리에서 일어나 양옆에 있는 사람의 손을 잡고 크게 흔들며 노래를 불렀다. 한동훈 법무부 장관, 박진 외교부 장관, 이종섭 국방부 장관 등도 맞잡은 손을 앞뒤로 흔들며 제창했다.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와 윤호중·박지현 더불어민주당 공동비대위원장, 여영국 정의당 대표 등은 각자 오른손 주먹을 쥐고 박자에 맞춰 흔들며 노래를 불렀다. 참석자 대부분이 익숙한 듯 제창하는 가운데 20대인 박 위원장은 왼손에 든 가사가 적힌 행사 팸플릿을 보며 노래를 불렀다.

윤 위원장은 기념식 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여야가 함께 기념식에 참석해 5·18 정신을 계승한 것은 의미가 있다”면서도 “아직 진실은 다 밝혀지지 않았고 진정한 사과와 반성도 이뤄지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박 위원장은 김진태 국민의힘 강원지사 후보가 5·18 정신을 왜곡했다면서 사퇴를 촉구했다. 이날 민주당에서는 당 지도부를 포함해 100여명의 의원들이 기념식에 참석했다.

이혜리 기자

고혜지 기자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