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12일 공개한 ‘통화 및 유동성’ 통계에 따르면 3월 M2는 3658조5000억원(월평균)으로 전달보다 0.1%(4조1000억원) 감소했다. M2는 현금, 요구불예금, 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 등 협의통화(M1)에 언제든지 쉽게 현금으로 바꿀 수 있는 금융상품에 들어 있는 자금을 모두 더한 것이다. 만기 2년 미만의 정기 예·적금, 머니마켓펀드(MMF), 양도성 예금증서(CD) 등을 포함한다.
시중 통화량 증감액 추이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M2가 전달보다 줄어든 건 2018년 9월(-0.1%) 이후 처음이다. 코로나19로 시중에 막대한 유동성이 풀리며 M2는 매달 큰 폭으로 증가해왔다. 올해 1·2월에도 M2는 각각 21조2000억원, 21조8000억원씩 불었다.
다만 1년 전과 비교하면 지난 3월 M2는 10.8% 늘었다. 지난해 1월 이후 매달 두 자릿수 증가율 행진이다.
금융상품별로는 정기 예·적금이 한 달 전보다 8조2000억원 늘었고 수익증권도 5조6000억원 증가했다. 반면 금전신탁은 10조5000억원, 머니마켓펀드(MMF)도 8조9000억원 감소했다.
한은 관계자는 “시장금리 상승으로 채권수익률이 낮아지며 MMF와 금전신탁에서 자금이 빠져나가 M2에 잡히지 않는 2년 이상의 정기 예·적금 등 다른 항목으로 일부 이전이 있었던 것 같다”고 설명했다.
경제 주체별로는 가계와 비영리단체가 15조2000억원 늘었고 기업도 12조1000억원 증가했다. 반면 증권사와 보험사 등 기타금융기관은 23조3000억원 줄었다. M1은 1358조 9000억원으로 전월 대비 0.4% 증가했다.
M1은 1년 전보다 11.3% 늘면서, 지난해 2월(26.0%) 이후 증가율 둔화가 이어지고 있다.
다만 지난 3월 M2의 감소를 시중 유동성의 감소로 보기 힘들다는 의견도 있다. 금리 인상 등으로 돈이 회수되는 속도보다 대출과 추가경정예산(추경) 등으로 돈이 풀리는 속도가 더 빠를 수 있어서다. 지난달 은행권 가계대출은 전월보다 1조2000억원 늘어나며 5개월 만에 증가세로 돌아섰다.
김상봉 한성대 경제학 교수는 “추경으로 시중에 유동성이 다시 공급되는 데다 대출도 증가율이 둔화했을 뿐 여전히 늘어나는 추세”라며 “추가 금리 인상이 몇 차례 이뤄져야 유동성 감소 효과가 나타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안효성 기자 hyoza@joongang.co.kr
▶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