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23 (월)

이슈 청와대와 주요이슈

정부 수립 후 74년간 ‘최고권력’ 상징한 청와대, 역사 속으로[윤석열정부 출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향신문

2022년 5월9일 청와대 본관에서 열리는 문재인 대통령의 마지막 접견 일정을 취재하긴 위한 취재진 버스의 진입을 위해 청와대 정문이 열리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10일 윤석열 대통령 취임과 함께 대통령집무실이 용산으로 이전됐다.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74년 간 ‘권력의 핵심’을 상징하던 ‘청와대(靑瓦臺)’의 권위는 이제 역사 속에서만 찾을 수 있게 됐다.



현재의 청와대 터는 고려의 남경 행궁(왕의 별궁)으로 역사에 처음 등장한다. 숙종 9년(1104년) 남경 궁궐이 경복궁 북쪽인 청와대 자리에 지어졌다.

조선 태조 4년(1395년)에는 경복궁이 창건되며 궁궐 후원으로 사용됐다. 이곳에는 임금이 신하들로부터 충성을 맹세받는 회맹단(會盟壇)이 세워졌다. 선조 25년(1592년) 임진왜란으로 경복궁이 폐허가 되며 청와대 터도 장기간 방치됐다. 청와대의 이전 이름인 경무대(景武臺)는 소실됐던 경복궁을 고종 5년(1868년) 재건한 뒤 청와대 자리에 조성한 후원 이름이다.

일제강점기인 1939년 조선총독부는 이곳의 전각들을 철거하고 총독 관저를 지어 사용했다. 6년 동안 총독 세 명이 이곳을 사용했다. 광복 후에는 존 하지 미 군정 사령관이 관저로 썼다. 1948년 정부 수립과 함께 이승만 대통령의 집무실이자 관저가 됐다. 이 대통령은 이 일대의 옛 이름인 경무대를 건물 이름으로 되살렸다.

청와대라는 명칭을 처음 사용한 것은 윤보선 대통령이다. 윤 대통령은 1960년 4·19혁명의 뜻을 반영해 독재를 연상시키는 경무대라는 이름을 폐기했다.

오늘날 청와대 모습이 갖춰진 것은 대통령 직선제 부활 이후 취임한 노태우 대통령 때다. 노 대통령은 집무실이 있는 본관과 사적 공간인 관저를 분리했고, 참모 업무 공간인 여민관과 기자실인 춘추관을 신축했다. 1993년 김영삼 대통령은 옛 관저를 철거했다.

청와대 이전 공약은 대선마다 단골 소재였다. ‘구중궁궐’이라는 말로 표현되는, 청와대 건물들의 비효율적 배치가 이전이 추진돼 온 대표적인 이유다. 대통령이 사용하는 본관 집무실에서 비서들이 근무하는 여민관까지는 도보로 10분가량 걸린다. 박근혜 국정농단 사태로 국회에 출석한 김장수 당시 국가안보실장이 세월호 참사와 관련해 증언하면서 평소 박근혜 대통령에게 서면보고를 하기 위해 “보고서를 들고 뛰거나 자전거를 타고 갔다”고 한 발언은 공분을 일으켰다. 윤 대통령이 든 집무실 용산 이전 이유도 청와대의 공간적 비효율로 인한 불통 문제다. 노무현·문재인 대통령은 여민관에 대통령 집무실을 설치해 문제를 해결하려 했다.

경호·비용 등 문제로 이전은 번번히 무산됐다. 김영삼·김대중·이명박 대통령은 정부서울청사 등으로 집무실을 옮기려 했으나 실패했다. ‘광화문 대통령 시대’를 공약했던 문재인 대통령도 마찬가지였다. 김대중 대통령은 대신 그간 청와대에서 열던 국무회의를 정부서울청사에서 주재했다. 노무현 대통령은 청와대를 포함한 정부 부처를 모두 세종시로 이전하려 했지만 헌법재판소의 위헌 결정으로 중단됐다.

역대 대통령들은 제한적이나마 청와대 개방을 추진했다. 이승만 대통령 때인 1955년 봄꽃철에 경내 일부를 시민들에게 공개한 것이 청와대 개방 시작이다. 박정희 대통령 때인 1968년 1월21일 ‘김신조 사건’이 있기 전까지 매년 봄에는 경내 일부를 개방했다. 하지만 이 사건 이후 청와대 개방은 중단됐고, 청와대 앞길과 북한산·북악산·인왕산이 통제됐다.

개방이 재개·확대된 시기는 민주화 이후다. 노태우 대통령 때 경내가 개방됐고, 김영삼 대통령 때는 인왕산과 청와대 앞길이 제한적으로 열렸다. 김 대통령은 궁정동 안가를 철거하고 무궁화동산을 조성했다. 궁정동 안가는 1979년 김재규 당시 중앙정보부장이 박정희 대통령을 향해 총을 쏜 10·26사태가 벌어진 장소다.

김대중 대통령은 단체에만 허용되던 경내 관람을 개인과 외국인에게까지 확대했다. 청와대 서쪽에 조선 후궁들의 위패가 모셔진 칠궁까지 관람을 허용했다. 노무현 대통령은 본관과 녹지원까지 관람 범위를 넓혔다. 북악산 일부도 다시 열었다. 문재인 대통령은 청와대 앞길과 북악산을 사실상 전면 개방했다.

정대연 기자 hoan@kyunghyang.com

▶ [뉴스레터]좋은 식습관을 만드는 맛있는 정보
▶ ‘눈에 띄는 경제’와 함께 경제 상식을 레벨 업 해보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