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때문에 그동안 병원에 직접 가지 않고도 진료를 받을 수 있었습니다. 일상으로 돌아가는 앞으로는 어떻게 될까요?
박하정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기자>
밖에서는 쉽게 찾기 힘들고 언뜻 보면 일반 사무실 같은 이곳, 지난 3월 문을 연 비대면 진료 전문 의원입니다.
[이의선/서울 영등포구 A 의원 원장 : 건강상에 문제가 생겨서 쉬고 있었던 상황이었어요. 비대면 진료라면 제 개인의 건강과 진료를 양립할 수 있는 좋은 수단이지 않을까 (생각했습니다).]
환자는 대부분 코로나 환자였습니다.
[이의선/서울 영등포구 A 의원 원장 : 전화받자마자 거의 로또 당첨되신 것처럼 '저 의사 선생님한테 전화받은 거예요?'라고 굉장히 기뻐하는 수준의 반응을 보이셨었고요.]
최근에는 비대면 진료에 익숙해진 다른 질환 환자도 늘었습니다.
이런 의료인과 환자 간 비대면 진료는 기본적으로는 불법이었는데, 코로나 이후 가능해졌습니다.
감염병 위기 경보 중 가장 높은 '심각' 단계가 발효되면 가능하도록 단서를 만든 것입니다.
비대면 진료 플랫폼인 어플도 속속 등장했습니다.
진료를 받고 처방전을 전송하면 약까지 배송받을 수 있습니다.
의료계는, 원래 3차 의료기관 쏠림, 오진 부작용 등 이유로 반대해 왔는데, 최근 분위기가 달라졌습니다.
[박수현/대한의사협회 대변인 : (비대면 진료가) 굉장히 중요한 의료 정책이 될 수 있고 이게 이제 앞으로 나아가는 방향도 있을 수 있을 텐데 더 이상 의료계가 반대만 하면서 배제가 되면 안 된다.]
하지만 지금 같은 시스템은 반대하고 있습니다.
[박수현/대한의사협회 대변인 : (플랫폼을 통해 진료 받은 의사가) 마음에 안 들면 또 클릭해서 다른 의사들을 볼 수가 있겠죠. '닥터 쇼핑'이라고 부르는데요. 이게 사실 다 건강보험료에서 나가는 부분이 있어요.]
비대면 진료 확산에 대해, 논란이 있기는 하지만 비대면 진료 건수가 4백만 건을 넘어섰고,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의 핵심으로 평가받으면서 코로나19 이전으로 되돌릴 수 없다는 평가가 우세합니다.
박하정 기자(parkhj@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