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2.16 (일)

이슈 긴급재난지원금

지난해 농가소득, 거리두기 완화·재난지원금으로 ‘역대 최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2021년 농가 및 어가경제조사 결과통계청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해 농가소득이 코로나19 방역 완화에 따른 농촌 관광 활성화와 재난지원금 지급 등의 영향으로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통계청이 28일 발표한 2021년 농가 및 어가경제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농가소득은 평균 4776만원으로 전년 대비 6.1% 증가했다.

소득 종류별로는 농업소득이 전년 대비 9.7% 증가한 1296만원으로 가장 큰 폭으로 성장했다. 재료비와 노무비 등을 포함한 농업 경영비가 0.1% 증가했으나, 미곡·채소·과수·축산 수입이 전반적으로 늘면서 농업 총수입도 3.2% 상승했다. 미곡은 재배면적 증가와 작황 양호에 따른 생산량 증가, 채소·과수는 생산·판매 규모의 증가와 정부의 수급 대책, 축산은 축산물 수요 증가와 조류인플루엔자(AI)에 따른 공급량 감소의 영향으로 수입이 증가했다.

농업 외 소득은 1788만원으로 전년 대비 7.7% 늘었다. 이 중 겸업소득은 551만원으로,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로 도·소매업, 음식·숙박업이 회복되면서 전년 대비 11.7% 증가했다.

이전소득은 1481만원으로 코로나19 재난지원금 등 공적보조금이 전년 대비 3.4%, 사적보조금이 11.7% 늘면서 총 3.8% 증가했다.

농가의 평균 가계지출은 3550만원으로 전년 대비 2.9% 증가했다. 지난해 말 기준 농가의 평균 자산은 5억 8568만원으로 전년 대비 3.5% 늘었고, 평균 부채는 3659만원으로 2.7% 줄었다. 자산 대비 부채 비율은 2020년 6.6%에서 지난해 6.2%로 축소됐다.

반면 지난해 어가소득은 평균 5239만원으로 전년 대비 1.5% 감소했다. 소득 종류별로 어업 외 소득과 이전소득은 늘었으나, 어업소득이 줄어든 영향이다.

어업소득은 1968만원으로 전년 대비 13.4% 줄었다. 어업 총수입은 1% 증가했으나 어업 경영비가 7.1% 감소했다.

어업 외 소득은 전년 대비 10.4% 증가한 1431만원이었다. 이 중 겸업소득은 724만원으로 농업 수입과 수산물가공업 수입 등이 늘어 17.9% 증가했다.

이전소득은 1571만원으로 사적보조금이 0.9% 감소한 반면, 재난지원금 등 공적보조금이 9.9% 증가해 총 9.6% 늘었다.

어가의 평균 가계지출은 3213만원으로 전년 대비 5.1% 올랐다. 지난해 말 기준 어가의 평균 자산은 5억 187만원으로 전년 대비 0.3% 줄었고, 평균 부채는 6440만원으로 0.8% 늘었다.

세종 박기석 기자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