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6 (화)

러 가스 끊긴 폴란드·불가리아, EU국가서 대체분 수급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EU "러 시도 또 실패" 선언하며 긴급지원 발표

폴란드 가스요금 동결…불가리아 "극복가능" 대책마련 착수

연합뉴스

러시아, 폴란드·불가리아 가스공급 중단
[AP 연합뉴스 자료사진. DB 및 재판매 금지]


(서울=연합뉴스) 이의진 기자 = 러시아 천연가스가 차단된 폴란드와 불가리아가 대체분을 외부서 수급하는 등 즉각 대내외 대책 마련에 나섰다.

AFP통신에 따르면 유럽연합(EU) 행정부 격인 집행위원회의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위원장은 27일(현지시간) 이 두 국가가 현재 EU 주변국에게서 대체분을 수급 중이라고 밝혔다.

폰데어라이엔 위원장은 "EU 회원국 간 분열을 꾀하려 했던 러시아의 시도는 또 실패했다"면서 "가스프롬의 결정이 유럽의 소비자들에게 가급적 작은 영향을 주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EU 관계자들은 회원국 에너지 장관들이 다음 달 2일 모여 현 상황에 대해 논의할 것이라고 전했다.

앞서 러시아 국영 가스회사 가스프롬은 폴란드, 불가리아 등 2개국이 대금을 러시아 통화인 루블화로 결제하지 않았다면서 가스 공급을 완전히 끊었다고 밝혔다.

이는 동유럽에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비판하고 제재에 동참하는 국가들을 겨냥한 자원 무기화 조치로 해석된다.

러시아는 서방 제재에 동참하는 국가를 '비우호국'으로 지정한 뒤 이들 국가에 가스 대금을 루블화로 결제하라고 일방적으로 요구해왔다.

폴란드는 연간 러시아에서 90억㎡의 천연가스를 공급받아왔다. EU 최빈국 불가리아는 러시아에 대한 가스 의존도가 90%에 달한다.

그런 만큼 두 국가는 러시아의 일방 조처를 규탄하면서도 내부적으로 즉각 대책 마련에 돌입했다.

피오트르 나임스키 폴란드 에너지안보 장관은 27일 트위터에 "폴란드는 러시아의 가스를 이용한 협잡에 굴복할 필요가 없는 에너지 안보국"이라고 썼다.

그러면서 기존 병원·학교·가계 등 에너지 취약 집단 대상으로 정부가 도입한 가스 요금 동결 조치의 기한을 2027년까지 연장하는 입법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폴란드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코로나19 대유행에 억눌려 있던 전력 수요가 커지고 러시아발 에너지 위기가 고조되자 올해 초 이런 취약 계층을 대상으로 하는 정책을 내놨었다.

나임스키 장관은 "2027년 완료 예정이던 계획을 앞당겨 2025년까지 액화천연가스(LNG) 터미널을 완공하겠다"고도 밝혔다.

LNG 운송을 위한 터미널을 활용, 러시아산 가스 공급의 대안을 확보하겠다는 전략이다.

알렉산데르 니콜로프 불가리아 에너지 장관은 자국이 최소 한 달간은 이용할 수 있는 물량을 확보했다며 이번 사태가 극복 불가능한 위기가 아니라는 점을 강조했다.

그는 자국뿐 아니라 폴란드와 리투아니아 역시 러시아의 일방적 조처에 영향을 받는 상황이라며 후속 조치를 논의하기 위한 전문가 회의를 열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양국은 가스프롬이 계약을 위반한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폴란드 가스회사 PGNiG는 성명에서 "계약 위반에 대한 배상을 받을 권리가 있다"며 "모든 법적 수단을 동원해 배상을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니콜로프 불가리아 에너지 장관도 "4월치 가스 대금을 모두 지불했다"면서 가즈프롬의 계약 위반을 지적했다.

그는 "현재 전쟁에서 가스가 정치·경제적 무기로 활용되는 것이 분명하다"고 덧붙였다.

러시아는 두 국가에 가스 공급을 끊은 후 다른 EU 소속 국가에도 이런 조치를 단행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루블화 결제를 거부하는 대다수 유럽 국가 가운데 이 두 국가가 첫 표적이 된 것은 우크라이나 사태에 목소리를 낸 국가를 향한 일종의 보복 조치로 해석된다.

실제로 대러 에너지 제재에 반대해온 오스트리아와 헝가리는 원활하게 러시아산 가스를 공급받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연합뉴스

pual07@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