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7 (수)

이슈 통화·외환시장 이모저모

중국 통화정책위원 "연 5.5% 성장하려면 거시정책 강도 높여야"(종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전 재정부 부부장 "미 금융정책 변화가 우리에게 최대 압력 될 것"

연합뉴스

베이징의 인민은행 청사
[로이터=연합뉴스 자료사진]


(상하이·홍콩=연합뉴스) 차대운 윤고은 특파원 = 중국 인민은행 통화정책위원인 왕이밍 국무원 발전연구센터 부주임은 "5월 상순 안에 코로나19를 통제하고 더욱 강도 높은 거시경제 정책으로 코로나19 충격에 대응함으로써 2분기 성장률부터 5%대로 돌려놓는 것이 올해 5.5% 성장 목표를 지키기 위한 중요한 기초가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중국의 1분기 성장률은 4.8%에 그쳤다.

왕 부주임은 24일 베이징에서 열린 경제 포럼에서 "경제가 비교적 큰 하방 압력에 직면했다"며 이같이 지적했다.

그는 "3월 대부분의 경제 지표가 둔화한 까닭에 예상대로 1분기 성장률은 5%를 넘는 데 실패했다"면서 성장을 위해서는 쓰촨-티베트 철로와 같은 인프라 건설에 속도를 내야 하고, 소비 진작을 위해 저소득층에 보조금을 지급하며, 중소기업의 기대에 부응하는 정책을 펴야 한다고 말했다.

같은 포럼에서 주광야오 전 중국 재정부 부부장(차관)은 "미국 금융정책 변화가 전례 없는 강도와 속도로 펼쳐질 것으로 전망되며 우리에게 최대 압력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지난 두달 간 (미국의) 금리 인상과 추가 인상 전망 속에서 (중국에서) 자본 유출을 목도했다"며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일정표를 예의 주시하며 중국과 신흥 시장에서의 자본 유출을 고도로 경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미국과 동맹들이 주도하는 반도체 생산 공급망 조정에 대한 위험에도 대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또 당국이 방역 정책을 합리적으로 최적화해야 한다며 "제로 코로나 정책을 고수할 때 우리는 더 정밀한 통제를 보장해야 하고 물류와 공급망이 방해받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지난 19일 오미크론 변이의 확산과 엄격한 제로 코로나 정책, 부동산 개발업체들이 직면한 금융 위기 등을 이유로 중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4.8%에서 4.4%로 낮췄다.

그러나 주 전 부부장은 IMF의 중국에 대한 전망이 이전에도 잘못됐었고, 경제 정책을 이행할 여지가 충분하다고 주장했다.

시장 일각에서는 중국이 경기 부양을 위해 금리를 추가로 내릴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지만 미국과 중국 간 통화정책 탈동조화에 따른 부담을 고려하면 인민은행이 추가 금리 인하를 단행하기에는 여의치 않은 상황이라는 분석도 많다.

실제로 중국은 지난 20일 시장 일각의 기대와 달리 4월 사실상 기준금리인 대출우대금리(LPR)를 동결했다.

중국이 경기 부양을 위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통화 긴축 흐름과 반대로 통화완화 정책을 펴면서 위안화 가치는 이달 들어 2%가량 급락하고 미·중 10년물 국채금리가 일시적으로 역전되기도 했다.

대신 인민은행은 25일부터 은행 지급준비율을 0.25%포인트 인하한다고 지난 15일 발표했다. 작년 12월 중앙경제공작회의를 계기로 중국이 '안정 최우선' 경제 정책 기조로 돌아서고 난 뒤 두 번째 지준율 인하다.

작년 12월 지준율 인하는 헝다 사태로 대표되는 중국 부동산 시장 급랭에 대응한 것이었다면, 이번 지준율 인하는 코로나19 대유행에 따른 경제 충격에 대응하는 것이었다.

이로써 중국 은행들의 평균 지준율은 8.1%로 내려갔다.

인민은행은 지준율 인하 계획을 발표하면서 5천300억 위안(약 102조원) 규모의 장기 유동성이 공급될 것으로 전망했다.

그러나 2분기 성장률 전망이 좋지 않다.

3월 이후 여러 지역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한 코로나19 확산의 여파가 4월 지표들부터 본격적으로 반영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중국의 금융·무역 허브로 중국 전체 국내총생산(GDP)의 25%를 차지하는 창장삼각주의 핵심인 상하이 봉쇄가 한 달째 계속되면서 중국 경제 피해가 눈덩이처럼 커지고 있다.

cha@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