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문재인 대통령의 퇴임을 앞두고 남북 정상이 친서를 교환했습니다. 대화와 신뢰 같은 말들이 오갔습니다만, 지금의 남북 긴장 관계를 풀기엔 역부족이란 평가입니다.
김혜미 기자입니다.
[기자]
북한은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김정은 위원장이 "4월 20일 문재인 대통령이 보내온 친서를 받았고, 21일 회답 친서를 보냈다"고 보도했습니다.
이어 청와대도 바로 이 사실을 확인했습니다.
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은 친서에서 함께 이뤄낸 남북정상 간의 합의와 공동선언에 의미를 부여했습니다.
조선중앙통신은 남북 정상이 "서로가 희망을 안고 노력을 기울여 나간다면 민족의 염원에 맞게 남북관계가 개선되고 발전하게 될 것이라는데 견해를 같이했다"고 전했습니다.
남북 간의 친서 교환 사실이 공개된 건 2020년 9월 이후 1년 7개월만입니다.
핵무기와 탄도미사일 시험 등 북한의 무력 도발 위협은 계속 이어질 것이란 전망입니다.
북한 주민들이 보는 노동신문에 친서 소식을 싣지 않은 것도 이후 얼마든지 대남 '강경모드'로 돌아설 수 있다는 의미로 풀이됩니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도 "희망적인 표현이 담겨 있는 것은 다행"이라면서도 "당분간 어떤 상황 변화를 예고한 것이라고 예단하기는 어렵다"고 말했습니다.
[박원곤/이화여대 북한학과 교수 : 문재인 정부 임기 막바지에 상당히 친화적인 친서가 온 것은 (향후) 남북관계가 훼손되면 그 책임을 윤석열 정부에게 물으려는 의도도 친서에 있다고 판단됩니다.]
인수위는 "비핵화를 통해 평화와 번영을 이룩하는 것이 민족의 대의라고 본다"며 비핵화를 강조했습니다.
(영상디자인 : 김윤나)
JTBC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All Rights Reserved.
문재인 대통령의 퇴임을 앞두고 남북 정상이 친서를 교환했습니다. 대화와 신뢰 같은 말들이 오갔습니다만, 지금의 남북 긴장 관계를 풀기엔 역부족이란 평가입니다.
김혜미 기자입니다.
[기자]
북한은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김정은 위원장이 "4월 20일 문재인 대통령이 보내온 친서를 받았고, 21일 회답 친서를 보냈다"고 보도했습니다.
이어 청와대도 바로 이 사실을 확인했습니다.
[박경미/청와대 대변인 : (문 대통령은 친서에서) 대화로 대결의 시대를 넘어야 하고 북·미 간의 대화도 조속히 재개되기를 희망했습니다.]
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은 친서에서 함께 이뤄낸 남북정상 간의 합의와 공동선언에 의미를 부여했습니다.
조선중앙통신은 남북 정상이 "서로가 희망을 안고 노력을 기울여 나간다면 민족의 염원에 맞게 남북관계가 개선되고 발전하게 될 것이라는데 견해를 같이했다"고 전했습니다.
남북 간의 친서 교환 사실이 공개된 건 2020년 9월 이후 1년 7개월만입니다.
하지만 이번 친서가 현재의 남북 긴장 국면에 미칠 영향은 제한적이란 분석이 나옵니다.
핵무기와 탄도미사일 시험 등 북한의 무력 도발 위협은 계속 이어질 것이란 전망입니다.
북한 주민들이 보는 노동신문에 친서 소식을 싣지 않은 것도 이후 얼마든지 대남 '강경모드'로 돌아설 수 있다는 의미로 풀이됩니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도 "희망적인 표현이 담겨 있는 것은 다행"이라면서도 "당분간 어떤 상황 변화를 예고한 것이라고 예단하기는 어렵다"고 말했습니다.
북한이 이런 친서 교환으로 곧 출범할 윤석열 정부를 압박하려는 의도가 있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박원곤/이화여대 북한학과 교수 : 문재인 정부 임기 막바지에 상당히 친화적인 친서가 온 것은 (향후) 남북관계가 훼손되면 그 책임을 윤석열 정부에게 물으려는 의도도 친서에 있다고 판단됩니다.]
인수위는 "비핵화를 통해 평화와 번영을 이룩하는 것이 민족의 대의라고 본다"며 비핵화를 강조했습니다.
(영상디자인 : 김윤나)
김혜미 기자 , 이지훈
JTBC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All Rights Reserved.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