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청·성보문화재연구원, 대형불화 정밀조사 보고서 7종 출간
운흥사 괘불탱에서 확인된 고대 인도문자 '범자' |
(서울=연합뉴스) 박상현 기자 = 국가지정문화재 보물인 경남 고성의 대형불화 '운흥사 괘불탱'에 고대 인도문자인 '범자'(梵字) 150여 개가 그려졌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괘불(掛佛)은 영산재나 수륙재 같은 대규모 야외 불교 의식에서 사용하기 위해 제작한 불화다. 길이가 10m 안팎에 이르는 커다란 삼베나 비단에 부처를 그렸으며, 조선시대를 대표하는 불교 문화재로 꼽힌다.
문화재청은 4일 발간 사실을 알린 '운흥사 괘불탱 및 궤' 조사 보고서에서 "일부 탈락하거나 뚜렷하게 보이지 않는 글자를 포함해 범자 150자 이상이 불화 화면에 적혔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범자는 불화 앞쪽 인물의 머리, 미간, 눈 위, 눈동자, 눈 아래, 입술, 가슴, 배, 다리 등 곳곳에 기록됐다. 뒤쪽에서도 범자가 확인됐다.
보고서는 "존상(尊像·지위가 높고 귀한 형상) 신체에 범자를 적는 것은 점필(點筆)과 관련이 있다"며 "점필은 새롭게 조성된 불보살을 예배의 대상으로 높이고, 불보(佛寶)로 거듭나게 한다는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운흥사 괘불탱 고대 인도문자 '범자' 위치 |
이처럼 화면 곳곳에 범자를 그린 또 다른 사례로는 전북 부안 '개암사 괘불탱'이 있다. 이 불화에서도 미간, 눈동자, 목, 가슴, 어깨, 무릎, 발 등에서 범자 118개가 발견됐다.
조사단은 운흥사 괘불탱을 감싼 가로 8.7m, 세로 1.7m인 직물이 탁의(卓衣)라는 사실도 찾아냈다. 탁의는 사찰에서 대형 행사 때 불단이나 탁자를 덮는 물품이다. 운흥사 탁의는 본래 야외 의식에 쓰였던 것으로 짐작된다.
운흥사 괘불탱은 조선 영조 6년인 1730년 승려화가 의겸 등이 그렸다. 신체 비례가 적당한 인물 형태, 조화롭고 밝은 색채, 화려하고 다양한 문양, 중심인물을 돋보이게 한 배치 등이 특징으로 평가된다.
문화재청은 성보문화재연구원, 국립문화재연구원, 대한불교조계종과 함께 2015년부터 '대형불화 정밀조사' 사업을 진행해 바탕 직물, 안료 정보와 실측 결과 등을 정리한 보고서를 발간하고 있다.
올해는 운흥사 괘불탱 외에 '갑사 삼신불 괘불탱', '율곡사 괘불탱', '금당사 괘불탱', '용흥사 삼불회 괘불탱', '안국사 영산회 괘불탱', '서울 흥천사 비로자나불 삼신괘불도'의 조사 결과를 담은 보고서를 펴냈다. 갑사 삼신불 괘불탱은 국보이고, 나머지 유물은 모두 보물이다.
안국사 괘불탱 화면 연결 구분 |
경북 상주에 있는 용흥사 괘불탱은 지금까지 보수되지 않은 불화로, 그림 뒤쪽에 삼 줄기 보강재가 남아 있었다. 또 조성 당시 장황(裝潢·비단이나 종이를 발라 화첩이나 족자를 꾸밈) 기법도 확인됐다.
전북 무주 안국사 괘불탱은 세 부분을 각각 그린 뒤 합쳐서 완성한 것으로 조사됐다. 접합 부분을 보면 색상이 달라 분업이 이뤄진 것으로 판단됐다.
올해는 국보 '장곡사 미륵불 괘불탱'과 보물인 '진천 영수사 영산회 괘불탱', '통영 안정사 영산회 괘불도', '문경 김룡사 영산회 괘불도', '남해 용문사 괘불탱', 비지정 문화재인 '서울 청룡사 삼신불 괘불도'를 조사한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매년 대형불화 6건을 조사해 2030년까지 전국 대형불화 정보를 집대성할 계획"이라며 "발간 보고서는 문화재청 누리집에서 공개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형불화 정밀조사 보고서 |
psh59@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