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월성해자가 31일 공개된다.
문화재청은 “1984년 시작된 30여년간의 발굴 조사, 2018년 말 착수한 3년간의 정비 사업을 마친 경주 월성해자를 31일부터 공개한다”고 28일 알렸다.
■관련기사 보기
▶경주 월성서 신라 인신공희 유골 추가 발굴…“국가 형성기 대중 장악 목적”
▶1000년 고도 경주 월성의 연못터에서는 무엇이 쏟아져나왔나
▶한국 고고학 사상 최대 발굴조사 5년째…오늘은 또 뭐가 나올까
해자(垓子)는 ‘적의 침입을 막기 위해 성 주위를 둘러서 판 물도랑 또는 못’이다. 경주 월성해자는 1984년 시굴 조사 과정에서 처음 확인됐다. 2021년까지 여러 차례 발굴 조사를 진행했다. 문화재청은 “월성해자는 신라가 삼국통일을 이루기 전에는 땅을 파서 물을 채운 수혈해자(竪穴垓子, 4~7세기)였고, 통일 후에는 수혈해자 상부에 석축을 쌓고 물을 가둔 석축해자(石築垓子, 8세기 이후)로 변화한 것이 밝혀졌다. 석축해자 방식은 수혈해자 본연의 방어기능에 조경적 의미가 더해진 것으로 판단된다”고 했다.
경주 월성 해자 전경. 문화재청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문화재청은 이번에 공개하는 해자는 지하의 수혈해자와 석축해자의 원형을 그대로 보존한 것이라고 했다. 해자 상층부는 통일신라 석축해자의 구조와 형태를 최대한 재현하려고 담수(湛水, 물을 채움)가 가능하도록 정비했다.
월성 해자 재현·정비사업은 ‘신라왕경 핵심유적 복원·정비사업’의 하나다. 2018년부터 총 101억원(지방비 포함)을 투입했다. 총 길이 550m, 최대 폭 40m 규모다. 문화재청은 “남쪽으로는 자연해자의 역할을 하는 남천이, 북쪽으로는 인공해자가 월성을 감싼 모습을 재현해 월성 해자의 옛 기능과 모습을 회복했다. 관람객 탐방로와 경관조명, 순환식 용수설비 등도 정비에 포함했다”고 했다.
경주 월성해자 재현·정비 조감도. 문화재청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김종목 기자 jomo@kyunghyang.com
▶ [뉴스레터]좋은 식습관을 만드는 맛있는 정보
▶ ‘눈에 띄는 경제’와 함께 경제 상식을 레벨 업 해보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