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LPG 공급 확대·캐나다 증산 계획 발표
의존도 높은 獨·헝가리가 금수조치 반대 지속
G20 퇴출도 쉽지 않아…비서구국가들의 반대
[이미지출처=EPA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아시아경제 이현우 기자, 뉴욕=조슬기나 특파원] 유럽연합(EU)과 미국, 캐나다 등 서방국가들이 러시아산 에너지 의존도 감축에 본격적으로 나선다고 밝혔다. 서방국가들은 이를 바탕으로 러시아의 자원 무기화를 원천차단하고,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를 국제 사회에서 완전히 고립시키려는 전략이다.
그러나 EU내에서도 여전히 러시아산 에너지의 의존도가 높은 독일, 헝가리 등을 중심으로 전면 수입차단을 반대하는 목소리가 높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밝힌 러시아의 주요20개국(G20 ) 퇴출 문제도 비서구국가들이 부정적인 입장을 내비치고 있어 곧바로 현실화되긴 어려울 것이란 전망도 나오고 있다.
24일(현지시간) EU 회원국 정상들은 바이든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벨기에 브뤼셀에서 정상회의를 갖고 러시아산 에너지 의존도를 줄이기 위한 방안을 중점적으로 논의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연달아 개최된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정상회의, G7 정상회의에도 모두 참석했다.
[이미지출처=로이터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바이든 대통령은 미국이 유럽으로 액화천연가스(LPG) 공급량을 늘려주겠다고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주요 외신은 소식통의 말을 인용해 "미국 측이 올해 연말까지 EU에 150억㎥ 규모 LPG를 추가로 공급할 계획을 전달했다"며 "바이든 대통령은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집행위원장에게 러시아 에너지 의존도 감축 합의안을 발표해줄 것을 희망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캐나다 정부도 유럽의 러시아 에너지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증산계획을 발표했다. AFP통신에 따르면 조너선 윌킨슨 캐나다 자원부장관은 이날 성명을 통해 "유럽의 동맹국들이 러시아산 에너지 의존도를 줄이기 위한 도움을 요청해 석유와 천연가스 생산량을 5%씩 늘릴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캐나다 정부는 원유 일일 생산량을 기존보다 20만배럴, 천연가스는 10만배럴 늘려 총 30만배럴 증산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이는 미국과 서방국가들이 추진 중인 러시아의 G20 퇴출조치 등 고립과 제재를 강화하기 위해 러시아의 자원무기화를 막아야한다는 판단 때문으로 풀이된다. 폰데어라이엔 위원장도 "러시아가 에너지로 우리를 협박할 수 있는 시대는 지났다"면서 "에너지 수출대금을 루블화로 받겠다는 러시아의 주장은 EU제재를 회피하려는 것이며 이를 허용치 않을 것"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하지만 여전히 러시아산 에너지 의존도가 높은 독일과 헝가리를 중심으로 상당수 유럽국가들이 금수조치에 반대하고 있어 실효성이 적을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BBC에 따르면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는 이날 EU정상회의에서 러시아산 에너지에 대한 전면 금수조치 합의에 반대했으며, 수입량 제한 조치로 완화할 것을 요구했다.
이는 독일기업들의 거센 반대 때문으로 알려졌다. 독일산업연맹(BDI)은 앞서 이달 초 성명을 통해 "EU는 여전히 천연가스의 40%, 석유의 28% 이상을 러시아에 의존 중이며 러시아 에너지에 대한 금수조치시 에너지 가격 부담에 독일과 EU 주요 기업들이 줄줄이 폐쇄될 것"이라고 경고한 바 있다.
[이미지출처=AP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러시아를 G20에서 퇴출시키려는 전략도 비서구국가들의 반대가 심해 쉽지 않을 전망이다. G20에서 러시아를 내쫓기 위해서는 모든 회원국가의 재무장관급 이상의 동의가 필수적이지만, 비서구국가들이 러시아 퇴출에 반대하고 있다.
러시아는 앞서 2014년 우크라이나의 크름반도(크림반도) 강제 병합 이후에도 G20 퇴출 움직임이 있었다. 하지만 G8(주요 8개국)에서는 퇴출됐어도, G20에는 끝까지 남았다. 브라질, 인도, 중국, 남아프리카공화국 등 이른바 ‘브릭스(BRICs)’ 국가들을 중심으로 반발한 탓이다. 당시 이들 국가는 러시아와 함께 "모든 회원국은 동등하다"고 성명을 발표하기도 했다.
바이든 대통령이 이날 나토 기자회견에서 "만약 (의장국인) 인도네시아 등 다른 국가들이 동의하지 않는다면 우크라이나가 G20정상회의에 참석해 참관하도록 하는 방안을 제시했다"고 언급한 것도 이러한 상황을 고려한 발언으로 읽힌다.
이미 중국은 "어떤 회원국도 타 회원국을 퇴출시킬 권리가 없다"며 공개적으로 반대의사를 표명한 상태다. 브라질도 우크라이나 사태와 관련해 어느 편도 들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인도는 앞서 유엔의 러시아 규탄성명에도 러시아와의 관계를 고려해 기권표를 던진 바 있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러시아가 화학 무기를 사용할 경우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대응이 나토의 군사적 개입을 의미하는지를 묻는 기자들의 질문에는 "대응의 성격은 어떻게 화학무기를 사용하는지에 달려 있다"며 즉답을 피했다.
이현우 기자 knos84@asiae.co.kr
뉴욕=조슬기나 특파원 seul@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