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5 (수)

이슈 최악의 위기 맞은 자영업

서울시, 소상공인·자영업자 맞춤형 교육 등 경영 지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지역 소상공인과 자영업자, 예비 창업가가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서울시가 맞춤형 교육과 컨설팅, 상담 등을 지원한다.

서울시는 '2022년 소상공인 종합지원사업'을 추진한다고 15일 밝혔다.

우선 서울시 자영업지원센터나 온라인 '우리마을가게 상권분석서비스' 등을 통해 창업과 사업 운영에 필요한 다양한 상담과 정보를 제공한다. 또 '서울시 소상공인 아카데미'에서는 예비 창업자,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상권분석, 디스플레이 방법, 매장홍보 및 마케팅 등에 대한 맞춤형 교육을 실시한다.

'소상공인 디지털 맞춤 상권분석서비스'를 활용한 창업컨설팅도 받을 수 있다. 컨설팅은 예비창업자와 창업 후 3년 이내 사업자를 대상으로 상권 입지분석부터 매출·비용점검, 자금조달 방법까지 창업연차별 꼭 필요한 내용을 중심으로 진행된다. 창업컨설팅을 받은 업체에는 창업자금 융자도 최대 5000만원까지 지원한다.

아울러 분야별 성공 소상공인의 창업·경영노하우를 전수받을 수 있는 현장실습과 체험도 할 수 있다. 신청자가 300명의 성공 소상공인 중 체험을 원하는 사업장을 직접 선택하고 열흘간 직접 멘토 사업장에서 고객 응대, 점포운영, 마케팅 등 심화 멘토링을 받게 된다. 현장체험 종료 후엔 멘토가 신청자의 사업장을 직접 방문해 현장지도를 하는 리마인드 멘토링도 이어서 진행한다.

노후사업장에 대한 시설개선비용도 최대 100만원까지 지원한다. 간판을 비롯해 조명, 도배 등 내부 인테리어 비용, 냉난방기 교체 및 화장실 공사비용 등을 지원함으로써 소비자의 불편을 덜어 실질적인 매출상승에 도움을 주는 것이 목적이다. 올해 지원대상은 총 600개소이며 장애인, 기초생활수급자, 한부모가정에 대한 가산점 부여를 통해 공공성을 강화한다.

복합적인 경영애로를 겪고 있는 소상공인에 대해서는 6개월간의 장기컨설팅을 진행한다. 분야별 전문가 그룹이 사업장을 직접 방문해 문제를 진단하고 개선방안 및 성장전략을 수립하는 종합처방 컨설팅 방식이다. 사업장 개선을 위해 필요한 제품개발비, 홈페이지·모바일웹 제작비, 온라인광고비 등도 사업장당 최대 300만원까지 지원해 실질적인 경영개선이 이뤄지도록 하는 것이 특징이다.

3인 이상의 자영업자가 협업해 사업을 추진할 경우엔 공동 브랜드 개발, 홈페이지 및 앱 등 공동시스템 구축에 드는 비용을 소요비용의 80% 이내, 최대 3500만원까지 지원한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