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정부 "체첸 때 전술 쓸 것" 예상,
일시 중단한 공격 강화할 가능성 커져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오른쪽)과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터키 대통령. /AFP=뉴스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우크라이나 침공 12일째 러시아가 목표를 대외적으로도 밝히며 공격을 강화할 의지를 보였다. 오랫동안 내전을 치르는 시리아에서 병력을 모은다는 소식까지 전해졌다. 다만 7일(이하 현지시간)에는 민간인 대피를 위해 러시아 공격이 일시중단 됐다는 보도도 나왔다.
블룸버그와 AFP통신에 따르면 6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해외 정상과 잇따라 전화통화를 했다.
프랑스 엘리제궁 관계자에 따르면 푸틴 대통령은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과 통화에서 "우크라이나의 탈나치화와 중립화" 목표 달성 의지를 재차 강하게 내비쳤다.
또 푸틴 대통령은 러시아가 2014년 강제 병합한 크름반도(크림반도)를 러시아 영토로 인정하는 것은 물론 우크라이나 동부 도네츠크와 루한스크(루간스크) 독립도 인정하라고 요구했다. 민간인을 위협해서는 안 된다는 마크롱 대통령의 지적에는 "러시아군은 그런 적이 없다"고 부인했다.
같은 날 터키의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대통령과 통화에서는 더 센 표현이 나왔다.
푸틴 대통령은 "우크라이나는 비무장화해야 하며, 현 정부를 해체하는 것이 목표"라면서 우크라이나가 전쟁을 중단하고 러시아의 요구를 들어줄 경우에만 군사작전을 중단하겠다고 밝혔다. 아직 진행 중인 우크라이나와 협상에 대해서는 "우크라이나 협상 대표단은 보다 건설적인 접근법을 취하고 현실을 고려하길 바란다"고 했다.
외교든 군사력이든 어떤 방법으로도 "러시아의 목표"를 이루겠다는 것이다.
이런 가운데 러시아 국방부는 이날 우크라이나의 방위 산업 시설을 정밀 타격 무기로 공격하겠다면서 "우크라이나에 비행장을 제공하는 어떤 나라도 전쟁에 개입한 것으로 보겠다"고 경고도 날렸다.
침공 초기 우크라이나의 강한 저항에 고전했다는 평가를 받는 러시아는, 최근 시가전에 능숙한 해외 병력까지 모집하는 등 전술 변화 신호를 보인다.
BBC 등에 따르면 이날 영국 국방부는 "우크라이나가 펼치는 저항의 규모와 강도에 놀란 러시아가 이에 대한 대응으로 하르키우(하리코프), 체르니히우, 마리우폴 등 다수의 인구 밀집지역을 겨냥하고 있다"고 밝혔다. 민간인을 겨냥한 대규모 군사작전으로 국면을 전환하려 한다는 것이다. 6일 우크라이나 수도 크이우(키예프) 인근 이르핀에선 피란하던 주민 행렬에 러시아군이 발사한 박격포탄이 떨어지며 어머니와 어린 자녀 두 명이 목숨을 잃는 일이 벌어졌는데, 현지 시장은 이들 포함 최소 8명이 이날 러시아군의 무차별 포격에 사망했다고 말했다.
영국 국방부는 이러한 러시아 행동을 "우크라이나인의 사기를 꺾기 위한 것"이라면서 1999년 체첸과 2016년 시리아에서 유사한 전술을 러시아가 구사한 적 있다고 설명했다.
1994년 체첸을 침공한 러시아군은 초기 매복 공격을 받아 어려움을 겪었으나 이후 몇 주 만에 체첸 수도 그로즈니에 집중적인 포격과 폭격을 가해 잿더미로 만들어 버렸다. 2016년 개입한 시리아 내전에서도 반군이 장악한 알레포 동부 지역에 전략폭격기들이 무차별 폭격을 퍼부었다.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은 미국 관리를 인용해 러시아가 시리아에서 전투원을 모집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들은 10년 가까이 내전을 겪어 시가전 경험이 많다. 이들이 우크라이나에 투입되면 전쟁 상황은 한층 격화될 가능성이 있다. 이미 일부는 러시아에서 투입 준비를 하고 있다고 WSJ는 전했다.
6일(현지시간) 러시아가 침공한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 검문소에서 군인이 결혼식을 한 뒤 키스를 하고 있다. /AFP=뉴스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한편 러시아는 현지시간 기준 7일 오전 10시(한국시간 오후 4시) 우크라이나 주요 도시들에 대한 공격을 일시 중단하고 민간인의 대피를 허용하기로 했다.
AFP통신에 따르면 러시아 국영 타스통신은 이날 러시아 연방군이 크이우, 하르키우, 마리우폴, 수미에서 인도주의 통로를 개방한다고 보도했다. 인도주의 통로를 통한 민간인 대피가 시작되면 러시아군은 무인정찰기를 이용해 대피 상황을 통제할 예정이다. 러시아 국방부는 이번 결정이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과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의 요청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황시영 기자 apple1@mt.co.kr, 박진영 기자 jyp@mt.co.kr, 정혜인 기자 chimt@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