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노원구 유세서 부동산 민심 공략
李 "집값, 세금 올라서 화나지 않냐, 저도 화난다"
4·7재보궐선거 참패 부른 서울 민심 이반 의식한 듯…사흘째 서울 집중 유세
[이미지출처=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 후보는 17일 서울 노원구에서 가진 거리유세에서 "진보의 금기를 깨고, 진보 정부의 부동산 정책을 확 바꾸겠다"고 소리 높여 연설했다.
이 지역은 부동산 재개발 요구가 큰 만큼 부동산 공약으로 표심을 파고들었다. 이를 위해 ▲대대적인 공급확대 ▲부동산 세 부담 완화 ▲재개발·재건축 활성화 ▲코로나 국면에서 세부담 제한 등을 제시했다.
이 후보는 "집값, 세금이 갑자기 올라서 화나지 않냐, 저도 화가 난다"면서 "재산세, 종부세가 과도하게 올라간 것을 차츰씩 조정하겠다"고 말했다.
특히 재건축 이슈가 있는 노원구를 겨냥해 "두꺼비도 새 집 달라고 한다, 사람도 새 집이 필요하다"면서 재개발·재건축 규제 완화를 약속했다.
또한 "10채 사는 사람이나 101채 사는 사람이나 대출규제가 똑같다. 최초 주택 구입자에게 LTV 90%까지 풀어주자"면서 대출규제 완화도 시사했다. 이어 원가공개, 외국인 거래 제한, 원주민 재정착 지원 등 부동산 개혁 도지사로서의 실적을 강조하며 부동산 문제 해결 의지를 전면에 내세웠다.
이 후보는 이어 점심 광화문 유세에선 청계광장 등에서 ‘촛불혁명’을 언급, 콘크리트 지지층인 40대를 겨냥하는한편 오후에는 왕십리, 저녁엔 홍대로 넘어가 자영업자와 청년 표심 구애에도 힘을 실을 예정이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 후보는 사흘 연속 서울에 공을 들이고 있다. 공식 선거운동 첫날 강남고속터미널에서 ‘위기극복·경제·통합’을 강조한 데에 이어 둘째날 강남·송파에선 ‘청년, 자영업자’를, 이날은 ‘부동산 민심’을 겨냥해 메시지를 추가 업데이트하는 방식으로 서울 민심에 집중하는 모습이다.
이처럼 서울 민심에 총력을 기울이는 데에는 지난 해 4·7재보궐선거 참패를 부른 서울의 민심 이반을 이대로 두면 안된다는 강력한 경계의 움직임으로 해석된다.
고 박원순 시장에게 세 차례나 50%가 넘는 지지를 보내며 당선시켰던 서울이었지만, 작년 재보궐 선거에선 오세훈 국민의힘 후보에게 57.50%로 압도적 지지를 보냈다. 박영선 민주당 후보는 39.18% 득표에 그쳤다.
지난 19대 대선 때에도 서울시민은 홍준표 자유한국당 후보(20.78%)보다 문재인 민주당 후보(42.34%)를 전국 평균(41.08%)보다 높게 지지했고, 박근혜 전 대통령이 당선됐던 18대 대선 때에도 투표자의 절반 이상인 51.42%가 문재인 민주통합당 후보를 선택했다. 당시 박 전 대통령은 전체 득표율 51.55%로 문 후보(48.02%)를 제치고 승리했지만, 서울에서는 48.18% 득표에 그쳤다.
특히, 일명 '노도강'이라고 불리는 노원구(53.14%), 도봉구(51.88%), 강북구(53.91%)과 '금관구'라고 축약되는 금천구(54.44%), 관악구(59.19%), 구로구(53.65%)에서 문 후보의 지지가 높았는데 작년 4·7 재보궐 선거에선 이 비율이 완전히 뒤집어져 오 후보가 서울 전 지역에서 압승했다. 당시 부동산 폭등에 따른 정권심판론이 우세했었는데, 오 후보는 부동산 분야에서 유능함을 내세워 세몰이에 나선 바 있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를 의식한 듯 이 후보는 이날 "보수는 일을 잘하는데 부패해서 문제고, 진보는 깨끗한데 무능하다는 말이 있는데 이는 새빨간 거짓말"이라고 역설했다.
그러면서 "전 실적으로 실력을 증명해 이 자리까지 왔다"고 강조하면서 "국민의 삶을 개선하고 고통을 줄이는 일이라면 가리지 않고 다 하겠다"고 했다.
오주연 기자 moon170@asiae.co.kr
이명환 기자 lifehwan@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