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2 (수)

이슈 미얀마 민주화 시위

노르웨이 텔레노르 투자자들도 미얀마 사업매각 인권침해 우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쿠데타 군부의 가입자 통신정보 등 악용 가능성 고려해야" 촉구

연합뉴스

미얀마 양곤시 텔레노르 대리점(자료사진)
[EPA=연합뉴스]



(방콕=연합뉴스) 김남권 특파원 = 미얀마에 진출한 노르웨이 통신사 텔레노르의 현지 사업 매각을 앞두고 투자자들 사이에서도 인권침해 가능성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왔다.

사업 매각으로 통신사가 보유한 1천800만명 가입자들의 통화 기록 및 개인 정보가 쿠데타 군사정권에 넘어갈 수 있기 때문이다.

로이터 통신은 텔레노르의 4대 투자자인 DNB 자산운용사가 미얀마 사업 매각 과정에서의 개인 데이터 처리와 관련한 논의를 위한 회의를 요청했다고 16일 보도했다.

또 8대 투자자인 스토어브랜드 자산운용사도 미얀마에서 철수할 때 '인권에 대한 상당한 주의'를 할 것을 요청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스토어브랜드 자산운용 관계자는 통신에 보낸 이메일 성명에서 "텔레노르는 매각을 통해 이전될 것으로 보이는 어떠한 가입자 정보도 군부에 의해 악용될 수 있는지를 고려해야 하며, 그러한 위험을 피하거나 줄이기 위해 적절한 조처를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다른 투자자인 연금펀드 KLP도 매각과 관련해 현재 진행되는 상황에 대해 텔레노르 및 다른 주주들과 함께 면밀히 살펴볼 것이라고 통신 측에 밝혔다.

노르웨이 시민단체 네트워크도 지난주 이번 매각이 '반인륜 범죄'에 해당하는지를 조사해 달라며 텔레노르 그룹 경영진을 상대로 경찰에 고발장을 접수한 바 있다.

앞서 지난 7일에는 텔레노르 미얀마 가입자 한 명이 노르웨이 현지 로펌을 통해 '노르웨이 데이터 보호청'에 매각으로 인한 개인정보 침해 위험을 조사해 달라며 소송을 내기도 했다.

노르웨이 현지 시민단체에 이어 텔레노르 투자자들 사이에서도 인권 침해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면서 매각 작업에 영향을 미칠지 여부가 주목된다.

지난 2014년 미얀마에서 사업을 시작한 텔레노르는 전체 인구의 3분의 1인 1천800만명을 가입자로 보유한 현지 3대 이통사 중 하나다.

지난해 2월 발생한 군부 쿠데타 이후 경영 악화 및 각종 규제 강화를 이유로 매각 방침을 발표했다.

그러나 사업 매각 후 개인 정보가 군부가 넘어가 반대 세력 탄압에 악용될 소지가 있다는 주장이 인권단체들 사이에서 제기되면서 논란이 커졌다.

로이터는 이와 관련, 군정이 텔레노르 현지 사업 지분의 80%를 현지 기업인 쉐 바인 퓨 그룹이 인수하는 방안을 승인했다고 최근 보도했다.

쉐 바인 퓨의 회장인 테인 윈 조는 현지 이통사 미텔 등 군부가 운영하는 사업체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나머지 20%의 지분은 레바논 투자사인 M1에 돌아갈 예정이라고 통신은 전했다.

미얀마 군부는 지난 2020년 11월 총선이 부정선거였다고 주장하며, 지난해 2월1일 쿠데타를 일으킨 뒤 반군부 세력을 유혈 탄압해 1천500명 이상의 희생자를 냈다.

south@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