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이슈 6G 주도권 전쟁

6G·자율차·신재생에너지 등 국제표준화에 2천513억원 투입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연합뉴스

국가기술표준원
[연합뉴스TV 제공]



(서울=연합뉴스) 윤보람 기자 = 정부가 6세대 이동통신(6G), 자율차, 신재생에너지 등 디지털 전환과 탄소중립 관련 국제·국가 표준을 만드는데 2천513억원을 투입한다.

산업통상자원부를 비롯한 17개 부·처·청은 15일 올해 첫 국가표준심의회를 열고 이런 내용을 담은 '2022년도 국가표준시행계획'을 심의·의결했다.

정부는 제5차 국가표준기본계획(2021∼2025)에 따른 4대 목표 달성을 위해 올해 작년보다 2.1% 증가한 2천513억원을 투자하고 12개 세부과제를 추진한다.

먼저 디지털 기술 등 신(新) 유망산업의 글로벌 시장을 주도하기 위해 6세대 이동통신(6G) 및 데이터·네트워크·인공지능(D.N.A) 기술(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자율차 데이터 실증(산업부), 인공지능(AI) 제조플랫폼 표준모델(중소벤처기업부), 바이오연료·제지 품질평가(산림청) 등의 표준화를 추진한다.

또한 온실가스 배출량 원격검증(환경부), 스마트 에너지(과기부), 신재생에너지 인증 고도화(산업부) 등을 통해 저탄소 기술 상용화를 지원할 방침이다.

혁신기술의 시장 출시를 돕기 위해 다수 인증의 원스톱 처리(산업부)를 지원하고 정부입찰·계약의 인증 활용제도를 개선(조달청)한다.

체외진단 의료기기 국가표준(KS) 제정(식품의약품안전처), 수질분야 표준물질 개발(환경부), 감염병 검사용 표준물질 보급(질병청), 스마트 정밀측정시험소 교정자동화 체계 도입(방사청) 등 산업 분야별 정밀 교정·측정을 위한 표준물질 개발·보급에도 주력한다.

아울러 소형 디지털 가전기기 전원 어댑터 등 생활제품의 호환성(산업부), 취약계층 의료기기(식약처), 중소규모 공연장 공기질(문체부) 등 국민생활과 밀접한 표준화 사업을 중점적으로 추진한다.

알러지 물질 측정방법(환경부)과 이차전지 통합안전관리(산업부), 범정부 공통표준용어(행정안전부), 시설물 디지털트윈 표준(국토교통부)도 개발할 계획이다.

이외에 표준의 활용과 사업화를 촉진하고자 국가 연구개발(R&D)과 표준 간 연계를 강화하는 등 표준의 성과물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전문인력 양성에도 힘쓴다.

문승욱 산업부 장관은 "표준의 역할이 중요해지고 국제표준 선점 경쟁도 치열하게 전개되는 상황에서 표준화 정책을 통해 기업 혁신성장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bryoon@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