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3 (수)

이슈 고용위기와 한국경제

2017년 대비 작년 취업자, 통계청 기준↑ vs 주40시간 기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통계청은 취업자 늘었다지만…질적으로는 고용상황 후퇴"

"일하는 시간 총량은 줄어…'통계거품'에 현실 반영 못해"

연합뉴스

취업(CG)
[연합뉴스TV 제공]



(서울=연합뉴스) 최평천 기자 = 통계청 통계상 작년 취업자 수가 2017년보다 증가하는 등 고용 상황이 외형적으로 나아졌지만, 질적으로는 후퇴했다는 지적이 나왔다.

14일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이 성신여대 경제학과 박기성 교수팀에 의뢰한 '전일제 환산(FTE) 취업자로 본 고용의 변화' 연구 결과에 따르면 국내 고용 상황은 지난 1월 통계청이 발표한 '2021년 연간 고용 동향'에 나타난 것보다 질적으로 훨씬 열악해졌다.

전일제 환산 방식은 한주에 40시간 일한 사람을 취업자 1명, 주 20시간 일한 사람을 0.5명, 주 60시간 일한 사람을 1.5명으로 계산하는 지표다. 일주일에 1시간만 일해도 취업자 1명으로 계산하는 일반 고용률의 한계를 보완한 통계다.

박 교수팀이 분석한 결과 작년 전일제 환산 취업자는 2천651만2천명으로 2017년과 비교해 7.3%(209만2천명) 감소했다.

통계청 통계와는 다른 결과다. 통계청이 발표한 작년 취업자는 2천727만3천명으로 2017년 대비 54만8천명(2.1%) 증가했다.

박 교수는 "취업자 수는 늘었지만 일하는 시간의 총량을 줄었다는 의미"라며 "고용 상황이 질적으로 후퇴하면서 '통계 거품'이 커졌다. 취업자 증가가 주로 정부의 단시간 공공 일자리 정책에 의존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그래픽] 전일제 환산 취업자 추이
(서울=연합뉴스) 김영은 기자 = 0eun@yna.co.kr 트위터 @yonhap_graphics 페이스북 tuney.kr/LeYN1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2년간 고용 상황 역시 통계청의 취업자 수 통계와 전일제 환산 통계 간의 괴리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작년 통계청의 취업자는 2019년 대비 0.6%(15만명) 증가했지만, 전일제 기준 취업자는 오히려 4.0%(109만3천명) 감소했다.

박 교수는 "재정·금융당국은 통계청 고용 통계를 근거로 국내 경제 상황이 안정을 되찾았다고 판단했다"며 "전일제 환산 방식으로 보면 우리나라 고용상황은 과거에는 정책적 이유로, 이후에는 코로나19 충격으로 급격히 악화됐다. 회복세와는 거리가 먼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도소매업과 숙박·음식업 분야에서 전일제 환산 취업자 감소가 두드러졌다.

작년 도소매업 전일제 환산 취업자는 347만명으로 2017년 대비 20.0%(86만7천명) 감소했다. 숙박·음식업도 2017년 대비 전일제 환산 취업자가 19.0%(51만8천명) 감소했다.

2019년 이전까지는 최저임금의 급격한 인상 여파로 임금 근로자 고용에 타격이 있었고, 2020년 이후에는 코로나19 영향으로 업계의 매출이 감소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우리나라의 경제 버팀목인 제조업 분야에서도 기존 통계와 비교해 실제 고용 침체는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업 분야의 전일제 환산 취업자는 2021년 455만5천명으로 2017년과 비교해 11.3%(58만1천명) 감소했다. 반면 통계청 기준으로 같은 기간 취업자 수는 4.3%(19만8천명)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코로나19 사태를 전후로 일거리가 줄어들고, 이에 제조업 근로자들이 퇴근 후 대리운전 등의 '투잡'에 나서면서 고용 통계가 실제보다 양호하게 집계되는 '통계 거품'이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연합뉴스

[그래픽] 취업자·실업자 증감 추이
트위터 @yonhap_graphics 페이스북 tuney.kr/LeYN1 인스타그램 @yonhapgraphics



정부의 공공일자리 정책이 집중됐던 보건·사회복지 서비스 분야도 통계청 기준으로는 취업자가 31.9%(61만3천명) 늘었지만, 전일제 환산 기준으로 하면 15.4%(27만9천명) 늘어나는 데 그쳤다.

특히 임시·일용직 등 취약 계층이 고용 충격을 가장 크게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일제 환산 기준 취업자는 일용직, 임시직,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 순으로 감소 폭이 컸다. 각각 26.5%, 25.8%, 23.6% 감소했다.

연령대별로 보면 '경제 허리'로 불리는 30·40 세대의 전일제 환산 취업자가 지난 4년간 193만7천명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 4년간 30대는 13.5%(82만6천명), 40대는 14.7%(111만1천명) 감소했다. 이는 통계청 기준 취업자 감소율의 2배가 넘는 수치다.

정부의 공공일자리 제공 정책이 집중됐던 고령층의 경우도 통계청 통계와 전일제 환산 통계 간의 차이가 컸다.

통계청 통계상 60세 이상 취업자는 2021년 540만6천명으로 2017년과 비교해 32.2%(131만6천명) 증가했지만, 전일제 환산 기준으로는 2021년 취업자가 467만4천명으로 집계돼 2017년 대비 17.9%(70만9천명) 증가하는 데 그쳤다.

박 교수는 "경제 발전 과정에서 단시간 일자리 비중이 커지면서 머릿수 세기 방식의 통계청 고용 통계가 현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기 시작했다"며 "전일제 환산 고용 통계의 공식 도입을 적극적으로 논의할 때"라고 말했다.

pc@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