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01 (금)

이슈 러시아, 우크라이나 침공

미·영·일·한 “우크라 자국민 빨리 떠나라, 언제든 러시아 침공 가능”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11일(현지시간) 주말을 메릴랜드주 캠프 데이비드 별장에서 보내기 위해 백악관 남쪽 잔디마당에 세워진 전용 헬리콥터 마린 원에 오르기 전 초병에게 거수 경례 답례를 하고 있다.워싱턴 AP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미국 백악관은 11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에 있는 미국인들에게 늦어도 48시간 이내에 대피할 것을 거듭 촉구했다. 적지 않은 이들이 ‘베이징동계올림픽 기간 중에는 괜찮겠지’ 생각하지만 언제든 러시아 군의 침공이 있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폴란드에 미군 벙력 3000명을 추가로 보내 모두 4700명으로 늘리게 했다.

제이크 설리번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이날 브리핑에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언제든지 일어날 수 있다고 경고하면서 이같이 밝혔다. 조 바이든 대통령도 전날 방영된 NBC 인터뷰를 통해 우크라이나에 있는 미국인들에게 당장 떠나야 한다고 권고한 바 있다.

설리번 보좌관은 러시아가 침공할 모든 군사 전력 요소가 준비됐다면서 침공 시 공습으로 시작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다만 푸틴 대통령이 최종 결정을 내린 것은 아닌 것으로 본다고 덧붙였다.

그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할 경우 단호하게 대응할 준비가 돼 있다면서 여기에는 경제적인 제재와 함께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군의 대응이 포함된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바이든 대통령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전화 통화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크렘린궁은 두 정상의 통화가 다음날 이뤄질 것이라고 발표했다.

다른 나라들도 잇따라 자국민 철수 권고를 내리고 있다. 영국 외무부는 이날 우크라이나에 있는 자국민들은 상업적인 이동 수단을 이용할 수 있는 지금 떠나라고 권고했다. 외무부는 러시아군이 침략하면 영사적 조력 등을 받을 수 없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외무부는 성명을 통해 “키예프의 대사관 직원을 더 철수시키기로 결정했다”며 “대사관은 계속 운영하겠지만 대면 영사 지원을 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고 스카이뉴스가 전했다.

일본 외무성도 이날 우크라이나에 대한 여행 경보를 최고 수준으로 올리고 모든 일본 국적자는 우크라이나를 떠나고 목적과 상관없이 해당 국가로의 여행을 피하라고 촉구했다.

네덜란드도 우크라이나에 머물고 있는 자국민에 대해 가급적 빨리 떠날 것을 권고했다고 로이터 통신이 BNR 뉴스 라디오를 인용해 보도했다.

한편 한국 정부가 교민들에게 즉각적인 출국 지침을 내림에 따라 교민들은 당황스러워하며 출국 준비를 서두르는 것으로 전해졌다. 조윤동 민주평통 우크라이나 지회장은 우리 외교부가 우크라이나 모든 지역을 의무적 출국이 요구되는 ‘여행금지’ 지역으로 지정한 것과 관련 “코로나19 양성 판정을 받아 나갈 수 없는 사람들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교민이 철수 준비를 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이날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가족이나 자녀들은 이미 대부분 출국하고 현재 주재원 등 교민 350명 정도가 남아 있는데 하루이틀 사이에 다 나가기는 어려울 것 같고 1~2주 내로 출국할 것으로 보인다”고 소개했다. 이어 “교민들이 일단 이웃한 폴란드나 다른 유럽 국가들로 가서 상황을 지켜보거나 한국으로 돌아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요며칠 사이 현지 상황이 더 크게 나빠진 건 없지만 미국과 영국, 일본 등이 교민들에게 모두 철수하라고 지침을 내렸고, 우리 정부도 의무적 출국을 지시한 상황이라 일단은 현지 상황이 안정될 때까지 우크라이나를 벗어나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드미트로 쿨례바 우크라이나 외무장관은 미국인들에게 우크라이나를 즉각 떠나라고 권고한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발언을 알고 있다면서도 “상황의 급격한 변화를 증명하는 것은 아니다”고 주장했다. 우크라이나는 최근 들어 미국이 위기를 과도하게 키워 현지 경제 상황을 혼란스럽게 만들고 있다고 불만을 표시해 왔다.

임병선 평화연구소 사무국장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