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7 (토)

‘목소리 권리’ 논란…OTT에 녹음된 성우 목소리, 누구 거죠? [이슈픽]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靑 국민청원 “성우 권리 개선” 요구
디즈니플러스·넷플릭스 이용자 증가하며
‘부당 계약’ 논란까지 일어나
성우 권리 향상 필요성 목소리 높아져
서울신문

‘목소리 권리’ 논란…OTT에 녹음된 성우 목소리, 누구 거죠? [이슈픽] - 픽사베이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넷플릭스 콘텐츠를 즐길 때 꼽히는 장점은 다국적 언어다. 번역 논란까지 겪는 다른 플랫폼에 비해 많은 나라의 언어 자막은 물론 목소리까지 있다. 1㎝의 장벽을 뛰어넘는 것에서 나아가 귀로 꽂히는 목소리에 콘텐츠를 즐기는 인원도 늘어났다. 다만 문제도 불거졌다. 넷플릭스와 계약한 국내 성우의 경우, 목소리에 대한 향후 지적재산권을 요구할 수 없다는 사실 때문이다.
서울신문

‘목소리 권리’ 논란…OTT에 녹음된 성우 목소리, 누구 거죠? [이슈픽] - 청와대 국민청원 홈페이지에 성우 권익 보호를 요구하는 청원 글이 올라왔다. 청와대 국민청원 홈페이지 화면 캡처. 2022.01.26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왜 자국민 성우에게 돌을 던지나”

청와대 국민청원 홈페이지에는 26일 “대한민국 성우들의 권익 보호를 위한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 (이하 OTT) 관련 ‘더빙 법제화’ 마련 촉구를 청원한다”라는 글이 올라왔다.

청원자는 게시글에서 자신을 공채 시험을 앞둔 ‘인디’ 성우라고 소개했다.

그는 “우리나라는 성우를 보호할 수 있는 구조가 아닌 듯해 국민청원에 글을 올린다”며 “성우들의 권리가 침해받고 보호받지 못하는 현실이 부당하고 가슴 아프다”고 말문을 열었다.

그러면서 “여러 OTT 관련 기업들은 성우에 대한 기본적인 권리를 지켜주지 않고 있다”며 “과거 한국 성우들이 극찬을 받았던 것과 달리 업계가 축소된 현재는 (성우 업계가) 문화적 가치를 잃어가고 있다”고 토로했다.

청원자는 “(성우는 녹음본으로) 지속적인 이익을 창출할 수 있다”며 “(이런) 이익을 기업이 독점하고 성우에겐 나눔없이 방치하는 게 맞느냐”고 물었다.

이어 “업계가 축소되고 성우가 되는 길은 점점 줄어들었다”며 “(성우가) 된 후에도 살아남기 어렵다. K팝을 필두로 번영을 이루는 (K컬처) 발전 속에서 성우는 왜 퇴보하느냐”고 강조했다.

청원자는 “(이제는) 외국 OTT 플랫폼에 가입한 사람이 많아졌다”면서 “외국 기업에 의해 국내 (성우) 분야 종사자가 짓밟히고 있다. 더빙 법제화가 왜 논란인가. (찬성) 주장을 하는 사람에게 돌부터 던지는 사람들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함께 싸우지는 못할 망정 돌을 던지느냐”며 “외국 기업 앞에서 국민 현업 종사자에게 돌을 던지는 현실이 부끄럽다. 성우들의 올바른 권리 보호를 위해 콘텐츠의 문화 발전과 언어의 이점을 살릴 수 있는 방향을 마련해달라”고 요청했다.

이런 내용의 청원이 올라온 건 처음은 아니다.

지난해 12월 15일에도 “해외글로벌OTT사의 갑질을 대한민국 성우가 고발하며, 우리말 더빙법제화를 촉구합니다”라는 제목의 청원이 올라온 바 있다.

청원자는 이 글에서 “모든 목소리의 권리와 우리의 이름까지도 빼앗아 포기하게 만들었다”면서 “개인 소셜 네트워크에 내가 맡은 캐릭터를 입에 담지도 못하게 만들었다”고 주장했었다.

당시 이 청원은 약 8000명의 동의를 얻어 답변을 얻는 데는 실패했다.
서울신문

‘목소리 권리’ 논란…OTT에 녹음된 성우 목소리, 누구 거죠? [이슈픽] - 한국성우협회는 해외 일부 OTT기업이 국내 성우들에게 불공정 계약을 요구한다고 주장한다. 한국성우협회 홈페이지 화면 캡처. 2022.01.26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OTT 한국 정착 후…성우 권리는

한국성우협회에 따르면, 넷플릭스(2016년)·디즈니플러스(2021년)가 한국에 자리잡은 후 성우들의 권리는 나아지지 않았다.

지난해 11월 22일에는 “성우들 수입이 늘어난 것처럼 보이지만 빛 좋은 개살구에 불과하다”는 내용의 성명을 발표했었다.

성우들은 이 성명에서 해외 OTT 목소리 출연 계약을 할 때, 초과 수익 발생 등이 있어도 이에 따른 배분을 요구하지 않겠다는 계약을 했다고 주장했다.

이뿐만이 아니다. 성우 최재호씨가 지난해 12월 8일 자신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계정에 “넷플리스에 하청을받고있는 에이젼트 겸 녹음실 에서 이런 안내를 받았다고 한다”면서 전한 내용이 공분을 샀다.

최씨는 이 글에서 “‘넷플리스의 콘텐츠에서 어떤 배역을 연기했든지 언급하지말라’(는 안내를 들었다)”면서 “(콘텐츠) 공개 전에는 보안 유지를 위해서는 당연히 협조해야하지만 작품공개후엔 그 작품 이 커리어인 성우들에게 그걸 언급하지 말라는 건 명백한 갑질”이라고 성토했다.

그는 “성우협회에 이같은 민원이 끊임없이 올라온다”면서 “성우협회는 갑질에 간과할 수 없다”고 강조했었다.

다만 넷플릭스는 이에 대해 “작품 공개 전 등장 캐릭터, 줄거리, 정보 등을 유출하지 말라는 것을 전달하면서 소통의 오해가 있었을 뿐”이라며 “해당 내용은 사실이 아니”라고 해명했었다.
서울신문

‘목소리 권리’ 논란…OTT에 녹음된 성우 목소리, 누구 거죠? [이슈픽] - 성우들의 권리 향상 요구는 오늘만의 일이 아니다. OTT 플랫폼이 국내에 정착한 후부터 이어져 왔다. (위)픽사베이 제공·(아래)한국성우협회 캡처. 2022.01.26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강민혜 기자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