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7 (토)

오미크론 ‘무서운 확산세’…바뀌는 방역체계 빈틈 메우기 시급 [오미크론 확산 본격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향신문]
현재 PCR 하루 80만건이 최대…검사 역량 초과 시 대응 한계
선 자가진단 체계, 마스크 때처럼 ‘진단키트 대란’ 부를 수
도의료기관 주말 대처·관공서 잇단 감염 등 공백 대비도 필요

경향신문

밤을 잊은 검사 줄 서울 잠실종합운동장에 마련된 임시선별검사소에서 시민들이 25일 밤 코로나19 검사를 받기 위해 길게 줄 서 기다리고 있다. 이날 오후 6시 기준 신규 확진자는 7439명으로 동일 시간 기준 7000명이 넘는 확진자가 나온 것은 처음이다. 한수빈 기자 subinhann@kyunghyang.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코로나19 하루 신규 확진 규모가 처음으로 1만명대에 올라서는 등 오미크론 변이 대유행이 시작됐다. 정부는 ‘진단검사’와 ‘치료’ 체계 대변화를 예고했다. ‘사회적 기능 공백’에 대비해야 한다고도 했다. 그러나 세 항목 모두 준비가 미흡한 실정이다. 확진자 규모가 일주일 만에 두 배씩 뛰며 오미크론 확산세가 거센 상황이어서 체계 전환 과정에서 혼선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크다.

■ 진단검사 = 정부는 25일 현재 유전자증폭(PCR) 검사는 평일 기준 50만건 수준이고, 최대 80만건까지 할 수 있다고 밝혔다. 확진자 규모는 이 역량을 초과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26일 광주·전남·평택·안성 등 4개 지역부터 고위험군만 PCR 검사를 받을 수 있도록 검사체계를 전환한다. 단순 의심자는 선별진료소나 호흡기전담클리닉에서 신속항원검사(자가검사키트) 후 양성일 때만 PCR 검사를 받는다.

신속항원검사는 양성 후 재검을 해야 해 치료에 시간 지체가 발생하고, 가짜 음성인 채로 방역패스(백신접종증명·음성확인제) 활용 땐 감염 위험을 키울 수도 있다. 호흡기전담클리닉을 시작으로 의원급이 신속항원검사를 하게 될 텐데, 상가에 자리 잡은 의원급 특성상 감염 우려가 높다며 의료계는 동선 분리 가이드라인을 요구하고 있다.

집에서 하는 자가검사키트 검사 결과 음성으로 나오면 방역패스로 쓸 순 없지만, 양성인 경우 선별진료소에서 PCR 검사를 받을 수 있다. 전체적으로 자가검사키트 수요가 커지면 ‘마스크 대란’ 때처럼 품귀 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이 때문에 검사 방법을 다양화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현장에서 검체 채취와 검사를 동시에 진행, 1시간 내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신속 PCR 검사’ 확대 활용이 언급된다. 타액 검사도 거론되지만 아직 코로나19를 진단할 수 있는 타액 PCR 검사 제품은 허가 난 게 없다. 일부 전문가들은 5~10개 표본을 묶어 PCR 검사를 하고, 양성일 경우만 재검하는 ‘풀링 검사’ 확대를 대안으로 제시한다. 고재영 중앙방역대책본부 위기소통팀장은 “전체 검사의 70~80%를 풀링 검사로 한다”며 “고위험군 검사 효율화를 위해 전략 전환은 필요하다”고 했다.

경향신문

■ 치료 = 이날 0시 기준 재택치료자는 전국 3만2505명이다. 전날 하루 신규 발생자 중 재택치료로 신규 배정된 환자는 5789명으로 전체 배정 건수의 70%에 해당한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26일부터 재택치료 격리기간을 예방접종 완료자는 10일에서 7일로 단축(미접종자는 7일 격리+3일 자율격리)할 것”이라고 했다. 또 재택치료 관리의료기관을 지난 23일 기준 369개에서 400개 이상으로 확대해 하루 2만명 이상 발생 시에 대비한다고 했다.

하지만 이 정도 대응만으로는 전국 단위로 오미크론 유행에 대처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있다. 동네 일선 의원의 참여가 관건인데 주말·심야 대응이 문제로 남아 있다.

확진자 수가 10만명 이상으로 늘어나면 위중증 환자 수도 수천명에 이를 수 있다. 현재 중환자 병상을 2282개까지 늘려 놨지만, 확진자가 어느 규모로 커질 때까지 감당할 수 있는지 판단하기 어렵다.

■ 사회적 기능 = 최근 며칠 새 경기 시흥경찰서, 보건복지부, 충북 증평군 등 관공서에서 집단감염이 잇따랐다. 다양한 사회적 기능의 공백을 야기할 수 있다는 의미다. 정부는 부처별로 업무지속계획(BCP)을 마련하기로 했다. 또 민간에도 적용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작성하고 있다. 정부가 BCP 시행 방침을 밝힌 것은 지난 14일이다. 사회적 기능 공백에 대한 대응 역시 속도가 더디다는 비판이 나온다.

김향미 기자 sokhm@kyunghyang.com

▶ RPG 게임으로 대선 후보를 고른다고?
▶ [뉴스레터]교양 레터 ‘인스피아’로 영감을 구독하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