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일보와 한국정당학회의 이번 조사(국민과 공통 14개 쟁점+별도 6개 쟁점)를 보면 단일화 대상으로 거론되는 후보 간 정책이념 차이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온다.
특히 윤·안 후보는 20개 쟁점에서 13개(65%)에서 같은 답을 택했다. 14개 쟁점에서 추출한 정책이념은 윤 후보가 5.12, 안 후보가 5.95였다. 정책적 차이가 단일화의 변수가 될 가능성이 높지 않다는 의미일 수 있다. 윤 후보는 안 후보를 자신과 같은 이념성향(6)이라고 평가하기도 했다.
세부적으로 보면, 윤·안 후보는 종전선언에 대해 “북한의 변화 없는 종전선언은 시기상조”라고 답했고, 성 소수자 관련해선 “법적·제도적 보장은 어렵지만, 사회적으로 권리를 존중해야 한다”고 했다. 영역별론 경제에서 가장 유사해 6개 쟁점 중 5개의 답변이 일치했다. 유일하게 다른 ‘향후 5년 재정지출 방향’에서도 ‘축소’란 공통점이 있다. 윤 후보가 “코로나19 회복 시까지는 현재 수준의 확대 정책을 유지하되, 회복 이후부터는 재정 건전성 회복을 위해 재정지출을 점진적으로 줄여가야 한다”는 의견인 데 비해 안 후보는 “재정 건전성 회복을 위해 재정지출을 점진적으로 줄여가야 한다”고 답했다.
국민의힘 윤석열 대선 후보(오른쪽)와 국민의당 안철수 대선 후보가 5일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관에서 열린 2022 중소기업인 신년인사회에 참석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 후보와 심 후보의 밀접도는 상대적으로 덜했다. 정책이념은 각각 2.74와 1.43이었는데, 20개 문항 중 7개 답변만 같았다. 심 후보가 일관되게 진보적 답을 선택한 데 비해 이 후보는 진보와 중도보수를 오가서다. 이른바 ‘실용주의 노선’으로 보인다. 북한과 경제협력을 재개하는 문제에 대해 두 후보 모두 “적극 추진해야 한다”고 했지만 가상자산(암호화폐) 과세를 두곤 “빠른 시간 내 과세”인 심 후보와 달리 이 후보는 “법적·제도적 장치를 먼저 마련한 후 논의 시작”을 택했다.
그렇다면 지지자들은 어떨까. 정책이념만 봤을 때 후보들과 유사한 모습을 보였다. 이 후보 지지자(3.89)와 심 후보 지지자(4.12)가, 윤 후보 지지자(6.39)와 안 후보 지지자(5.88)가 가깝다. 지지자들 사이에서도 단일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의미다.
그렇다면 후보들은 상대 후보를 어떻게 볼까.
━
스스로 중도라는 이·윤, 상대방엔 극보수·극진보 평가
‘극 진보’ ‘극 보수’.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와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의 서로에 대한 시선이다. 이번 조사에서 대선후보들에게 자신을 포함, 후보 네 명의 이념 성향이 어디에 해당하는지도 물었다.
이 후보는 자신을 중도(4점)로 보았지만, 윤 후보에게 9점을 줬다. 윤 후보는 자신을 중도보수(6)라고 봤고, 이 후보에겐 2점을 줬다. 14개 쟁점에 대한 답변으로 구한 정책이념은 이 후보가 2.74, 윤 후보가 5.12였던 걸 감안하면 이 후보의 윤 후보에 대한 평가가 더 강하다고 볼 수 있다.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는 자신을 중도(5)라고 봤다. 이 후보의 눈엔 보수(7), 윤 후보의 눈엔 자신과 같은 중도보수(6)였다. 심 후보는 자신만 진보(3)로 분류했고 나머지 세 후보를 중도보수 내지 보수로 규정했다. 이 후보는 6점, 안 후보는 7점, 윤 후보는 9점이었다. 반면에 이 후보와 윤 후보 모두 심 후보를 강한 진보(이재명 2, 윤석열 1)로 인식했다.
지지자들도 경쟁 후보들에 대해선 실제보다 더 진보적, 혹은 더 보수적으로 보는 경향이 있긴 했으나 후보들에 비해선 정도는 덜했다. 이 후보 지지자들은 이 후보의 이념에 대해선 3.61로 본 데 비해 윤 후보에 대해선 7.84라고 여겼다. 윤 후보 지지자들은 윤 후보에 대해선 6.88인데 비해 이 후보는 2.39로 봤다.
이재묵 한국외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대선 후보들이 상대방을 극단 세력으로 바라보는 건, 사회 통합의 관점에서 우려스러운 부분”이라 지적했다.
■ 어떻게 조사했나
정책이념은 ▶외교안보 ▶경제 ▶사회(물질/탈물질주의) 3개 차원의 영역으로 분석했다. 외교안보는 오랜 기간 한국 사회에서 가장 치열하게 정치·사회적 갈등을 구성했던 영역으로 대체로 한·미 관계 등 전통적 관계를 중시하는 게 보수, 변화와 다각화를 중시하는 게 진보로 여겨진다. 경제 영역에선 시장의 자율성과 효율을 중시하는 게 보수, 기업에 대한 규제와 복지를 강조하는 게 진보로 이해된다. 사회 영역에선 개인의 자유와 권리를 강조하는 것이 진보, 전통적 가치·질서를 우선하는 것이 보수 쪽이다.
이번 대선후보와 국민 대상 조사에선 3개 영역에서 현안을 대표하는 14개 쟁점을 선택했고, 쟁점별로 가장 진보(0)부터 가장 보수(10)까지 네 개 층위의 답변을 제시했다. 후보들에겐 현안에 대한 6개의 추가 질문도 했다.
국민 대상 조사는 중앙일보가 엠브레인퍼브릭에 의뢰해 지난 12월 26~29일 전국 18세 이상 유권자 2014명을 대상으로 무선(84%)와 유선(16%) 전화면접조사 실시했다. 표본은 2021년 11월 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 기준으로 성·연령·지역별로 할당 추출 했으며, 인구 비례에 따른 가중치(셀 가중)를 부여했다. 신뢰수준 95%에 표본오차 ±2.2%포인트, 응답률은 12.1%다. 상세 자료는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참조
※한국정당학회 연구진이 조사·분석에 참여했습니다.
▶내 후보 몇점? 나는 몇점? 2022대선 정치성향 테스트 (https://www.joongang.co.kr/digitalspecial/462)
김준영·박태인 기자 kim.junyoung@joongang.co.kr
▶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