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신 접종 여부는 개개인이 선택, 접종 강요 안돼"
"백신패스는 차별적 요소 있어…정부에서도 개념 혼동해 사용"
최재천 일상회복위원회 민간공동위원장이 29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별관에서 열린 코로나19 일상회복지원위원회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2021.12.29/뉴스1 © News1 송원영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서울=뉴스1) 김규빈 기자 = '방역패스(접종증명·음성확인제)' 용어를 처음 만든 최재천 일상회복 지원위원회 공동위원장(이화여대 석좌교수)이 최근 방역패스 확대적용을 두고 반발이 이어지는 것과 관련해 "'방역패스'는 '백신패스'와 다르다. 원래 의도와 다르게 정부와 국민들이 방역패스의 뜻을 받아들이고 있는 것 같아 상당히 섭섭하다"고 말했다.
최재천 공동위원장은 10일 오후 4시 한국보건사회연구원(보사연) 등이 주관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을 위한 방역-민생 병행전략' 회의에 참석해 이같이 밝혔다.
그는 "처음 방역패스라는 용어를 만들어서 설명할 때는 '백신패스'가 가지고 있는 한계와 불합리함 때문에 일부러 그런 표현을 쓰지 않았다"며 "정부와 언론에서도 백신패스와 방역패스를 같은 개념으로 놓고 생각하는 것 같아서 조금 답답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백신패스란 용어는 백신 미접종자들로 하여금 '여러가지 이유로 백신을 맞지 않았는데 왜 나를 차별하느냐'고 해석될 여지가 있다"며 "백신은 개개인이 접종 여부를 선택할 수 있고, 민주사회에서는 정부가 백신 접종을 강제할 수도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방역패스는 대한민국에 사는 사람이, 모름지기 인류의 한 구성원이라면 내 생명뿐 아니라 다른 사람의 생명도 중요하다는 의미, 즉 방역의 의무를 지녀야한다는 점에서 용어를 만들게 된 것이다"며 "유전자증폭(PCR) 검사 테스트를 통해서 음성이라고 보여줄 수 있는 점, 확진판정을 받은 후 완치된 사례가 늘고있는 점도 종합적으로 고려했다"고 강조했다.
그는 "K-방역은 우리 스스로 자화자찬해서 만든 표현이 아니고, 전 세계에서 우리나라를 향해 붙여준 표현이다"며 "그러나 요즘 시민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다 망했다'는 쪽으로 흘러가고 있는 것 같아 너무나 안타깝다"고 했다.
rnkim@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