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자체 목표량도 미달성
금리 상승기 여신 수익 등 보장
한도 예외로 비중 늘릴지 미지수
올해 고신용자 대출 증가가 제한되면서 시중은행들이 중저신용자 대출을 늘릴 것으로 전망됐지만 가능성이 높지 않다는 지적이 나온다. 은행들 입장에선 중저신용자 대출이 아니어도 금리 상승기 여신 수익이 보장된 데다 굳이 부실채권 위험을 떠안을 필요도 없어서다. 당국이 중저신용자 대출에 대해 한도 예외라는 인센티브를 주겠다고 밝혔지만 큰 유인책이 되기는 어렵다는 지적이다.
4일 금융당국과 금융업계에 따르면 정부가 대출 총량 규제를 강하게 밀어붙였던 지난 해에도 시중은행이 스스로 세운 중저신용자 대출 목표는 최대한 인정한다는 입장을 취했으나 시중은행들 중 단 한 곳도 스스로 세운 목표를 달성하지 못한 것으로 파악됐다.
금융위원회는 올해 업무보고에서 중저신용자 대출은 실수요 대출로 분류하고 이를 한도에서 예외로 하는 것을 인센티브로 설정했지만 사실은 지난해에도 같은 방식으로 운용했던 셈이다.
지난해와 올해 감독 당국이 총량 관리에 포함한 대출은 중저신용자 대출이다.
당초에는 당국이 중저신용자 대출을 관리 목표치에 전액 반영하려고 했으나 중간에 시중은행이 세운 목표만큼은 전액 인정해주기로 방침을 바꿨다. 지난 해 당국이 가계부채 총량 관리를 밀어붙이면서 시중은행들이 해당 한도 내에서는 중저신용자 대출을 할 수 없다고 불만을 제기해서다.
한 은행권 관계자는 "지난해에 중저신용자 대출을 포함해 부채 총량을 8%까지 늘리겠다고 허락 받은 은행이 있는데 실제로는 고신용자 위주로 대출했다"며 "이 은행은 올해 중저신용자 대출 목표와 관련해서도 당국의 조정을 받은 걸로 안다"고 말했다.
이처럼 은행들이 중금리대출에 소극적인 이유는 위험에 비해 수익성이 낮기 때문이다. 시중 은행 관계자는 "우량고객이 주 고객층인 은행으로선 중금리대출이 리스크만 크고 수익사업은 되지 못한 것"이라며 "은행들이 금융당국에 못이겨 울며겨자먹기로 중금리 상품을 내놓긴 했지만 적극적인 움직임은 보이지 않는 모습"이라고 전했다. 게다가 금융당국이 제시한 중금리대출에 대한 인센티브도 은행을 유인하기엔 부족하다는 지적도 있다.
또한 은행이 금융당국의 대출조이기와 기준금리 인상 속에서도 고신용자의 대출 수요가 날로 치솟아 굳이 중금리대출까지 나설 이유가 적은 것도 작용하고 있다.
일단 은행들은 올해도 중저신용자 대출을 더 늘릴 뜻을 피력하고 있지만 결과는 미지수다.
국민은행은 신임 이재근 은행장이 나서 "내년에는 (신용등급) 7등급 이하인 저소득층 고객에게는 한도가 열려 있어 성장 기회로 탐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국민은행은 이를 위해 신용평가모델 개발 조직을 부서로 격상하고, 대안 신용평가모델 활용 전담팀을 구성했다. 가계대출 총량 규제가 강화되면서 중저신용자 대출을 확대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풀이된다.
신한, 하나, 우리은행도 신용평가모형(CSS) 고도화 작업에 착수했다. CSS를 정교화해 상환능력이 있는 중저신용 고객군을 찾아내 부실화를 최대한 줄이겠다는 뜻이다.
한편 지방은행과 인터넷은행 등 중금리 대출 비중이 높은 은행들은 올해 이 비율을 최대한 인정을 받는 것으로 알려졌다. 올해 카카오뱅크와 케이뱅크의 중저신용자 대출 목표치는 각각 25%, 토스뱅크는 42%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