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고용위기와 한국경제

외국인 취업자수 85.5만명…코로나 이전수준 회복 못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올해 외국인 취업자수가 85만명대를 회복했지만 코로나 이전 수준에는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에서 자가에 거주하는 외국인 비중은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높았다.

21일 통계청의 '2021년 이민자 체류 실태 및 고용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5월 기준 외국인 취업자는 85만5000명으로 전년 대비 7000명(0.9%) 증가했다. 외국인 고용률은 64.2%로 전년 대비 0.5%포인트 상승했다.

외국인 취업자는 코로나19 여파로 지난해 85만명 밑으로 떨어지고 외국인 실업자수가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많은 7만명을 기록한 바 있다. 올해 외국인 취업자 증가는 2018년 이후 3년 만이다.

종사상 지위별로 보면 지난해 가장 큰 타격을 받았던 임시·일용근로자가 2만7000명(9.4%) 늘었다. 산업별로는 건설업이 19.4%로 가장 크게 증가했다.

외국인 임금근로자 가운데 74.1%는 월평균 임금이 200만원 이상이었으며 고용보험 가입자는 55.8%, 산재보험 가입자는 67.9%로 각각 집계됐다.

국내에 상주하는 15세 이상 외국인은 133만2000명으로 지난해와 같았다. 다만 코로나19 장기화로 방문취업자(-23.5%)와 비전문취업자(-14.1%)는 대폭 감소했다.

국내에서 자가에 거주하는 외국인 비중은 16%로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17년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외국인 가운데 국민연금 가입자는 29.8%인 반면 건강보험 가입자는 91.6%로 대부분 가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경운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