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0 (목)

이슈 미얀마 민주화 시위

“나 막지 마” 캄보디아의 허세? 남중국해 분쟁·미얀마 쿠데타 직접 해결 공언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남중국해 COC 완성, 군부 아세안 복귀 추진
'中편향·아세안 동의 생략' 비판에 '마이웨이'
한국일보

2022년 아세안 의장국에 오를 캄보디아의 훈센 총리 모습. 프놈펜포스트 캡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022년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ㆍ아세안) 의장국을 맡게 될 캄보디아가 임기 시작 전부터 안팎에서 관심을 끌고 있다. 남중국해 영유권 분쟁과 미얀마 군부 쿠데타 사태를 직접 해결하겠다고 공언한 것도 모자라, 아세안 회원국과 국제사회의 간섭 역시 무시하겠다고 못 박았다. 현지에선 캄보디아의 돌출 행보에 아세안이 혼란에 빠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16일 크메르타임스 등 현지매체에 따르면, 훈센 캄보디아 총리는 전날 수도 프놈펜의 한 행사장에서 "캄보디아가 직접 남중국해 분쟁과 미얀마 위기를 해결하겠다고 약속한다"며 "비록 실패할 수 있겠지만, 캄보디아의 역할을 과소평가하지 말라"고 밝혔다. 이어 훈센 총리는 "중재자인 아세안이 완전한 결의안을 내놓기 힘든 이상 캄보디아의 노력을 비난해선 안 된다"며 "(회원국과 국제사회는) 우리를 방해하지 말고 지켜보라"고 거듭 강조했다.

캄보디아는 남중국해 분쟁 해결의 키워드를 '남중국해행동강령(COCㆍCode of Conduct in the South China Sea)의 조속한 확정'으로 꼽았다. 남중국해에서의 충돌을 피하기 위해 2017년 중국과 아세안이 서명한 COC 초안을 완성시켜 논란을 종식시키겠다는 취지다. 하지만 이는 중국이 밀어붙이는 해결책일 뿐 분쟁 당사국과 미국 등 서방세계는 여전히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캄보디아는 인도차이나 반도 내에서 중국의 영향력이 가장 강력히 미치는 국가다.

미얀마 사태 해결 방식을 놓고도 시끄럽다. 훈센 총리는 전날 미얀마 문제를 다룰 차기 아세안 특사를 자국의 쁘락 소콘 부총리 겸 외교부장관으로 임명한 뒤, 내달 7~8일로 예정된 미얀마 현지 방문에 동행키로 결정했다. 동시에 그는 "미얀마에서 각 정치세력을 만나 화해를 이끌 것"이라며 "(미얀마 군부를 재초대해) 완성된 10개 회원국 형태의 아세안 정상회의를 개최하겠다"고도 말했다. 아웅산 수치 국가고문 면담 등을 불허한 미얀마 군부를 배제하고 있는 현 아세안의 기조를 단독으로 뒤집겠다는 얘기다.

캄보디아의 '마이웨이'에 국제사회는 불안한 시선을 거두지 못하고 있다. 폴 체임버스 아세안공동체연구센터 연구실장은 "훈센 총리와의 만남에서도 미얀마 군부 수장인 민 아웅 흘라잉 장군이 아세안이 요구한 5개 합의안 이행을 거부할 가능성이 크다"며 "캄보디아가 회원국의 동의 없는 행동을 하는 것은 아세안의 불안정성을 높이는 일"이라고 지적했다. 데릭 콜렛 미 국무부 특별보좌관(차관급) 또한 "캄보디아는 미얀마 군부에 어떤 양보도 하지 말고, 남중국해 문제도 독자 행동을 자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하노이= 정재호 특파원 next88@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