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아시아경제 이선애 기자, 공병선 기자] 금융당국이 과잉 대출 수요 억제 정책, 이른바 부채 구조조정을 통한 주택시장 안정화에 집중하면서 주식과 가상화폐 시장에 부정적인 여파가 미치고 있다. 부채 구조조정은 금리를 인상하고 대출한도를 줄여 시중에 풀린 과도한 유동성을 흡수하는 과정이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충격은 전가될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경제적 요인, 수급적 요인보다는 정치적 개입으로 인한 정책 기조 전환 여부가 부동산 시장의 최대 변수로 떠오른 가운데 주식과 가상화폐 시장 역시 정부의 부채 구조조정 정책을 주시하고 있다.
14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지난 10월 초 70조원을 웃돌았던 예탁금은 이달 10일 64조6000억원대로 내려앉았다. 11월 국내 주식시장(거래소+코스닥)의 개인 거래대금은 17조3000억원으로 올해 평균 대비 16% 감소했다. 서영수 키움증권 연구원은 "전반적인 가계부채 구조조정이 증시에도 일정 수준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해석했다.
가상화폐 시장에도 불똥이 튈 수밖에 없다. 각국 통화당국이 코로나19 위기를 빌미로 유례없는 돈을 풀자 이에 대한 반발 심리로 주식 시장뿐만 아니라 비트코인을 비롯한 가상화폐가 급등했다. 즉 돈의 가치가 하락하자 대체 투자자산의 수요가 늘어난 것이다. 이는 부채 구조조정, 즉 유동성 축소 정책이 이들 대체 자산의 가치 하락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뜻이다.
이미 유동성 축소 충격은 반영되고 있다. 가상화폐 시황 중계 사이트 코인게코에 따르면 13일 기준 국내 4대 가상화폐 거래소(업비트·빗썸·코인원·코빗)의 하루 거래대금은 약 4조3964억원을 기록했다. 업비트의 거래대금은 3조1250억원으로 지난 7월21일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치솟던 국내 4대 거래소의 거래대금은 한 달 사이 급감했다. 지난달 16일 업비트의 하루 거래대금만 약 18조7542억원을 기록하며 같은 날 코스피(11조1012억원)를 훌쩍 넘었다. 이외 빗썸과 코인원, 코빗의 거래대금도 각각 3조8708억원, 5710억원, 273억원을 기록하는 등 4대 거래소의 거래대금을 모두 합하면 23조2233억원에 달했다. 한 달 만에 거래대금이 5분의 1 수준으로 줄어든 것이다.
유동성 문제로 가상화폐 시장의 반등 모멘텀은 보이질 않는다. 비트코인은 지난 4일 폭락 이후 단 한 번도 7000만원선을 넘지 못했다. 지난달 말 업비트는 대체불가능토큰(NFT) 전용 마켓을 공개하고 코빗은 SK스퀘어로부터 900억원을 투자받았지만 반등의 기미는 보이지 않고 있다.
더욱 주목할 점은 가상화폐 가격의 변동성이 높아 가격 급등락 시 손실의 위험이 상대적으로 높다는 점이다. 2030세대가 신용대출 등을 이용해 투자하는 사례가 적지 않아 단순히 투자 손실을 넘어 가계 대출 부실화의 단초가 될 가능성도 있다. 실제 코인 거래대금의 80% 이상이 이뤄지는 업비트 기준으로 올해 2030세대의 비율은 60%에 달한다. 아울러 정부의 대출 확장 정책의 수혜를 가장 많이 받은 계층이 2030세대로 1억원 이상 대출이 순증기준으로 50%를 넘고 있다. 내년 1월부터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가 2억원 이상, 7월부터 1억원 이상으로 낮아진다.
서 연구원은 "DSR에 가장 영향을 많이 받는 대출이 신용대출인 점을 고려해 볼 때 규제 강화의 영향은 가상화폐 시장, 나아가 주식 시장에도 일정 수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주식 및 가상화폐 투자자들이 향후 정부의 부채 구조조정 정책을 주시해야 할 이유가 여기에 있다"고 강조했다.
이선애 기자 lsa@asiae.co.kr
공병선 기자 mydillon@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