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4 (일)

이슈 G7 정상회담

한일 외교장관, G7서 첫 대면…현안 견해차 확인한듯(종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日언론 "한국에 적절 대응 요구"…외교당국 의사소통 가속화에는 공감

오늘 한국 참석 G7 외교장관 확대회의…인도태평양 경제·안보 논의

연합뉴스

G7 만찬에서 자리 함께 한 한일 외교 수장
(리버풀[영국] 풀/로이터=연합뉴스) 11일(현지시간) 영국 리버풀의 비틀스 스토리 뮤지엄에서 G7 외교·개발장관회의 만찬을 하기 전 하야시 요시마사(林芳正) 일본 외무상이 존 레논의 피아노 복제품으로 '이매진'을 연주하자 정의용 외교장관 등이 박수를 쳐주고 있다.2021.12.12 photo@yna.co.kr


(리버풀[영국]·서울=연합뉴스) 최윤정 특파원 김효정 기자 = 주요 7개국(G7) 외교·개발장관회의가 열린 영국 리버풀에서 정의용 외교부 장관과 일본의 하야시 요시마사(林芳正) 신임 외무상이 처음으로 대면했다.

정 장관과 하야시 외무상은 지난 11일(현지시간) G7 및 초청국 외교장관 등이 참석한 만찬장에서 잠시 만나 대화를 나눈 것으로 12일 알려졌다.

정 장관은 초청국 자격으로 이번 회의에 참여하며, 지난달 10일 취임한 하야시 외무상과 직접 만난 것은 처음이다.

외교부 당국자는 "현장에서 (양 장관의) 자연스러운 조우가 있었다"며 "양국 간 현안을 포함해 한일관계에 대한 의견교환이 있었던 것으로 이해한다"고 말했다.

하야시 외무상은 이 자리에서 강제징용 피해자 및 위안부 문제 등 양국 간 쟁점 현안과 관련한 일본의 일관된 입장을 설명하고 한국 정부가 적절하게 대응할 것을 강하게 요구했다고 교도통신 등 일본 언론이 보도했다.

이에 대해 정 장관은 한국 측의 입장에 근거한 발언을 했다고 교도통신은 전했다.

한국은 강제징용 피해자 및 위안부 문제 등 한일관계 경색 원인이 된 현안 해결을 위해 '합리적이고 현실적인' 제안을 논의하는 데 열려 있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일본은 한국이 전향적인 해법을 가져오라고 일방적으로 요구하고 있으며, 이날 짧은 대화에서도 견해차를 확인한 것으로 보인다. 하야시 외무상은 취임하고서 이날 대면하기 전까지 정 장관과 전화 통화도 하지 않았다.

다만 일본 언론에 따르면 이 자리에서 두 장관은 한일관계를 건전한 관계로 돌려놓기 위해 외교당국 간의 협의와 의사소통을 가속하는 데도 의견을 같이했다.

'비틀스 스토리 뮤지엄'에서 열린 만찬에서 하야시 외무상이 피아노를 연주하는 모습을 정 장관을 비롯한 외교장관들이 지켜보며 화기애애하게 손뼉을 치는 사진이 공개되기도 했다.

이번 회의에서 한일 간 정식 양자 회담은 두 장관의 현지 체류 일정상 물리적으로 추진되기 어려운 것으로 알려졌다.

정 장관은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과도 행사장에서 만난 것으로 알려졌다.

대북 대화 재개 방안이나 베이징 올림픽 보이콧 등 미중 갈등 사안에 대한 의견교환이 있었을지 주목된다.

국무부가 공지한 블링컨 장관의 12일 일정에 한국과 양자 회담은 일단 포함돼 있지 않지만, 양측이 이른바 '풀어사이드'(pull aside·약식 회담) 형태 등으로 회동을 조율할 가능성은 있다.

정 장관은 이번 G7 회의 참석을 계기로 독일, 호주, 영국 등과도 회담을 추진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연합뉴스

영국 리버풀에 모인 G7 외교장관들
[리버풀<영국> 풀/AFP=연합뉴스]


한편 G7 회원국과 한국·호주 등 초청국,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회원국 외교장관들은 현지시간 12일 오전 확대회의를 열고 인도·태평양 지역의 경제 및 안보 문제를 논의한다.

미 국무부는 블링컨 장관의 참석 일정을 공지하면서 회의 의제로 '인도·태평양 지역의 인프라, 기술, 그리고 공동의 안보(Shared Security)'를 언급했다.

외교부는 앞서 정 장관이 G7 회원국 및 초청국들과 함께 백신과 국제보건안보, 인도·태평양 지역의 경제 및 안보, 양성평등 등 논의에 참여할 예정이라고 밝힌 바 있다.

G7 국가들이 아태지역 국가들을 대거 초청해 인도·태평양 지역의 문제를 논의하는 것은 중국의 영향력을 견제하려는 목적이라는 해석이 많다.

최근 미국·유럽연합(EU) 등 서방 국가들은 중국이 대규모 인프라 투자를 통해 개발도상국들에 영향력을 확대하는 것을 막기 위해 '대안적' 인프라 지원 구상을 추진하고 있으며 아세안이 핵심 격전장이다.

이와 관련해 미국은 한국 등 역내 동맹국들의 협력을 필요로 할 수 있다는 관측이다.

kimhyoj@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