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이슈 미얀마 민주화 시위

로힝야 소송 효과? 메타, 쿠데타 미얀마 군부 지원 기업 '퇴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군부 돈줄 역할 조사 따른 것"…'로힝야 학살 방조 논란' 의식했나

연합뉴스

페이스북 로고(자료사진)
[AP=연합뉴스]



(방콕=연합뉴스) 김남권 특파원 = 세계 최대 소셜미디어 기업인 메타(옛 페이스북)가 미얀마 쿠데타 군부와 관련된 기업들을 퇴출시켰다.

외신에 따르면 메타는 지난 8일(현지시간) 보도자료를 내고 미얀마 군부가 통제하는 모든 기업에 대해 자사 플랫폼 이용을 금지했다고 밝혔다.

메타는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 왓츠앱 등의 애플리케이션(응용프로그램)을 운용하고 있다.

미얀마 군부는 관련 기업들을 통해 맥주와 담배 사업부터 섬유,통신,관광,금융,운송 등 사실상 미얀마 산업 전반을 주무르고 있다.

앞서 메타는 지난 2월 말 미얀마 쿠데타 군부와 연관된 페이스북 및 인스타그램 계정을 차단한 것은 물론 광고까지도 모두 금지한다고 밝힌 바 있다.

메타측은 보도자료에서 "이번 조치는 땃마도(미얀마 군부) 자금 지원과 관련한 이 업체들의 직접적 역할에 대한 국제사회 및 시민단체들의 광범위한 조사에 기반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메타는 2019년 유엔의 미얀마 관련 보고서 및 미얀마 관련 인권단체 '저스티스포미얀마'나 '버마캠페인UK' 그리고 시민사회와의 협의를 통해 이 기업들을 파악하고 있었다고 언급했다.

이와 관련, 미얀마 군부가 통제하는 기업과 연관된 100개 이상의 계정과 페이지 그리고 단체들이 이미 자사 플랫폼에서 제거됐다고 밝혔다.

페이스북은 미얀마 인구 약 5천400만명 가운데 절반인 2천700만명이 사용하다 보니, 사실상 미얀마에서는 인터넷과 동의어로 쓰일 정도다.

각종 뉴스가 소비되는 것은 물론, 시민들 간의 소통 창구로도 사용된다.

군부가 지난 2월1일 쿠데타를 일으킨 직후 페이스북을 빠르게 차단했던 것도 이 때문이다.

이번 군부 기업 '퇴출' 조치는 미얀마의 이슬람 소수민족인 로힝야 난민들이 페이스북에 집단 학살 방조 책임을 묻는 1천500억 달러(약 177조원) 규모의 민사 소송을 제기한 것에 즈음해 이뤄졌다.

연합뉴스

2017년 집단학살 피해 피난길 오른 로힝야족
[AP 연합뉴스 자료사진. DB 및 재판매 금지]



2017년 미얀마 서부 라카인주에서 미얀마군의 주도로 이뤄진 집단학살 때 로힝야족 사망자가 1만명을 넘은 것으로 추산됐다.

당시 탄압을 피해 국경을 넘은 뒤 방글라데시 남동부에 있는 콕스바자르 난민캠프에서 사는 로힝야족은 100만명 정도에 달한다.

외신에 따르면 미국에 있는 로힝야족 1만명 정도를 대표해 미국 캘리포니아주 법원에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집단소송 소장이 지난 6일(현지시간) 접수됐다.

로힝야족은 소장에서 페이스북이 혐오 발언을 널리 퍼뜨리는 알고리즘을 가동하고 악성 게시물을 내리지 않았다면서, 허위정보와 극단주의 신념을 확산시켜 폭력을 자극한 까닭에 2017년 미얀마 정부의 로힝야족 학살이 쉬워졌다고 지적했다.

미얀마 군부는 작년 11월 총선이 부정선거였다고 주장하며, 지난 2월1일 쿠데타를 일으킨 뒤 반군부 시위대를 유혈 진압해 왔다.

현지 인권 상황을 감시하는 정치범지원협회(AAPP)에 따르면 쿠데타 이후 군경 폭력에 숨진 시민은 1천300명 넘는 것으로 집계됐다.

south@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