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29 (금)

이슈 책에서 세상의 지혜를

조선 후기 건문에 건 현판, 그 뜻은?...국립중앙박물관 전수조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현판' 보고서 발간

조선 후기~광복 이후 만들어진 현판 104건

[이데일리 김은비 기자] 국립중앙박물관은 일제강점기 자료 조사사업의 일환으로 일제강점기 이래 박물관이 소장한 현판을 조사한 보고서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현판’을 발간했다고 1일 밝혔다.

이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박물관은 일제강점기 조선 궁궐과 관청 건물이 훼철되면서 철거된 현판 82건 82점을 포함해, 조선 후기~광복 이후까지 만들어진 현판 104건 110점을 소장하고 있다. 박물관은 이 현판들을 전수조사하고, 현판의 앞·뒤 고화질 사진을 촬영했으며 내용을 번역했다.

이번 보고서에 수록된 박물관 소장 현판은 몇 가지 특징을 지니고 있다. 우선 궁궐과 관청에 실제 걸려있던 현판이 많다. 태원전, 훈련원처럼 건물 명칭을 적은 현판이나 전교같이 왕명을 새긴 현판이 여럿 있다.

특히 주목되는 것은 경연청, 문기수청 서리(관청에 소속돼 행정실무를 맡아보던 최하위 공무원)들의 명단이 기재된 좌목 현판 4점이다. 이는 조선 후기 중간 계층의 동향을 알려주는 귀한 자료다. 개화기 관청 현판, 일제강점기 박람회장에 걸었던 현판 등 근대사 자료로 가치가 높은 현판도 적지 않다.

또 건물 기둥에 걸었던 현판의 일종인 주련이 많이 확인된다. 주련은 건물 처마 밑에 거는 편액과는 달리 비바람에 더 노출되고, 건물을 고치거나 허물 때 편액보다 없어지기 쉽다. 박물관에 있는 주련은 모두 48점으로, 만든 형식이나 내용으로 보아 대부분 관청이나 궁궐 건물에 걸렸을 것으로 추정된다.

마지막으로 지금까지 널리 알려지지 않았던 현판들이 있다. 철종대 좌의정이었던 박영원(1791~1854)의 별장인 녹천정의 편액, 기문(집을 지은 사실을 기념하여 적는 글), 상량문(집의 대들보를 올릴 때 대들보 위에 쓰거나 안에 넣어 집의 안녕을 꾀하는 글) 현판을 비롯해 김정희(1786~1856)와 중국 청나라의 학자 완복(1801~1875)의 교류를 보여주는 ‘선인도’ 현판, 청나라 명필의 글씨로 만든 현판들도 여럿 확인됐다.

그 가운데 그동안 기록으로만 알려져 있던 원교 이광사(1705~1777)의 ‘연려실’편액 실물이 확인되었다. 이는 이광사 특유의 서체가 잘 드러나는 작품인 동시에 18세기 조선 역사학을 대표하는 명저 ‘연려실기술’의 저작배경을 증언하는 사료이다. 보고서에는 현판들의 사진, 자세한 설명과 함께 관내외 연구자들이 쓴 논고 6편이 같이 실렸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