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30 (목)

이슈 아프리카돼지열병 국내 상륙

충북 단양서 아프리카돼지열병 발생…충북 첫사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연합뉴스

단양군 야생멧돼지 양성 폐사체 [환경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김은경 기자 = 환경부는 충북 단양군 단성면 대잠리에서 발견된 야생멧돼지 폐사체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발견됐다고 19일 밝혔다.

충북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이 발생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번 추가 발생으로 아프리카돼지열병 발생지역은 총 20개 시·군으로 늘었다.

19일까지 발생 건수는 1천708건이다.

이번에 폐사체가 발견된 지점은 지금까지 발생한 최남단 지점인 영월군 김삿갓면에서 약 38㎞ 서남쪽으로 떨어진 곳으로, 월악산 국립공원 경계로부터 안쪽 200m 지점이다.

환경부는 인근 지역 확산 및 양돈농가 감염을 차단하기 위해 충북, 국립공원공단, 군부대, 단양군 등 관계기관과 함께 긴급조치를 한다.

우선 확산범위를 파악하기 위해 63명의 수색 인력을 긴급 편성해 반경 10㎞ 내 24개 리(里) 지역을 관계기관 합동으로 2주간 집중 수색한다.

또 발생지점 주변에 멧돼지 접근을 차단하기 위해 그물망, 경광등, 기피제 등 임시시설을 설치한다.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단양군 발생지점 주변(반경 10㎞) 지역의 총기 포획을 일시 중지하고, 멧돼지 이동통로에 포획트랩 300개를 추가 설치할 계획이다.

야생동물질병관리원, 원주지방환경청, 국립공원관리공단 등은 감염 의심 단계인 18일부터 발생지역 주변을 조사하고 전파경로를 파악하고 있으나, 현재까지 추가 폐사체는 발견되지 않았다.

환경부는 아프리카돼지열병이 충북·경북 지역으로 확산하지 않도록 차단 울타리를 선제적으로 설치해 대응을 강화할 예정이다.

충북·경북 비발생지역에 대한 이중 차단망을 구축하기 위해 광역 울타리 2개 신규 노선을 설치하고 있으며, 지자체는 확산 징후, 확산 예상 범위, 인근 양돈농가 분포 등을 고려해 2차 울타리를 설치할 계획이다.

이 밖에도 백두대간에 위치한 월악산, 소백산, 속리산 등 국립공원 지역은 해당 국립공원별로 자체 대응팀을 구성해 아프리카돼지열병 확산 차단을 위해 노력할 계획이다.

환경부는 "아프리카돼지열병 비발생 지역도 대비를 강화해달라"며 "지역 주민들은 야생멧돼지 폐사체를 발견할 경우 지자체 등에 즉시 신고하고 양성 개체가 발생한 지역은 출입을 자제해야 할 것"이라고 당부했다.

연합뉴스

야생멧돼지 ASF 발생지역 현황(2021년 11월 19일 기준) [환경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bookmania@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