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1 (월)

이슈 고용위기와 한국경제

10월 제조업 취업자 432만명…산업분류 개편 2013년 이후 최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1년전보다 1만명 이상 줄어…30∼50대 12만4천명 감소

연합뉴스

수출 기다리는 완성차들
[연합뉴스 자료사진]



(세종=연합뉴스) 곽민서 김다혜 기자 = 지난달 제조업 취업자 수가 432만4천명으로 2013년 산업 분류 개편 이후 10월 기준으로 최저치를 기록했다.

글로벌 공급망 교란에 따른 자동차 생산 차질이 영향을 미쳤다.

14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달 제조업 취업자 수는 전년 동월보다 1만3천명 감소한 432만4천명이었다.

이는 2013년 산업 분류 개편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지난달 전체 취업자 수가 1년 전보다 65만2천명 증가하고 실업자는 24만1천명 감소하는 등 전체 고용이 회복세를 보였던 것과 대조적이다.

연령별 제조업 취업자 수를 1년 전과 비교해보면 30대(-7만7천명), 40대(-2만5천명), 50대(-2만2천명)에서 감소세를 보였다. 일자리의 허리로 볼 수 있는 30∼50대에서 12만4천명이 줄어든 것이다.

반면 10대(4천명), 20대(6만6천명), 60대 이상(4만1천명) 제조업 취업자는 늘었다.

올해 10월 기준 제조업 취업자의 연령별 비중은 40대가 27.0%로 가장 높았다.

50대(24.6%), 30대(23.7%), 20대(13.4%), 60대 이상(10.8%), 10대(0.4%)가 그 뒤를 이었다.

통계청 관계자는 "자동차 관련 감소 폭이 워낙 커 제조업 취업자 감소세가 유지되고 있지만 감소 폭은 줄어들고 있다"고 말했다.

취업자 감소세는 8월 -7만6천명, 9월 -3만7천명, 10월 -1만3천명 등 둔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2013∼2021년 10월 제조업 취업자 수 추이
[국가통계포털 웹사이트 갈무리. 재판매 및 DB 금지]



제조업 취업자 수가 단기간에 회복되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최근 발표한 '2021 하반기 경제전망'에서 글로벌 공급망 교란 영향이 내년 상반기까지 이어진다고 예상했다.

전기차 비중이 확대되고 있는 자동차 산업의 일자리도 우려되고 있다.

전기차는 내연기관차보다 부품 수가 훨씬 적어 관련 일자리가 줄어들 수 있다.

moment@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