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연임 앞두고 장쩌민파 해소 기회 vs 권력 핵심부 도덕성 논란 커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중국의 최고지도부인 중국 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의 바로 직전 상무위원이자 권력 서열 7위였던 장가오리(75) 전 국무원 부총리의 성폭행 의혹 사건의 파장이 커지고 있다. 일단 사흘 앞으로 다가온 중국 공산당 19기 중앙위원회 제6차 전체회의(19기 6중전회)에 미칠 영향이 주목된다. 반대파 청산 가능성으로 시진핑 공산당 총서기 겸 국가주석에게 유리하다는 주장과 함께 권력 핵심부의 도덕성 논란으로 커질 수 있는 악재라는 분석이 맞서고 있다.
사건은 지난 2일 저녁 ‘중국판 트위터’인 웨이보 글을 통해 불거졌다. 국제적으로도 유명한 중국 여자 테니스 스타인 펑솨이(35)가 이날 자신의 웨이보 계정에 장 전 부총리로부터 성폭행을 당한 후 한동한 내연 관계를 이어갔다고 주장한 것이다.
일단 내연 기간은 장 전 부총리가 톈진시 공산당위원회 서기로 재직했던 2007년부터 2012년까지로 해석된다. 이후 장가오리가 정치국 상무위원 겸 국무원 부총리로 승진(2012년)해 베이징으로 이동하면서 왕래가 끊어졌지만 장이 은퇴한 약 3년 전 베이징에서 이들 부부와 함께 테니스를 친 후 그의 집으로 갔다가 다시 성폭행을 당했다고 밝혔다.
한때 여자 테니스 복식 부분 세계 랭킹 1위에 올랐던 스포츠 스타가 최고 권력층에게 당한 피해를, 그것도 SNS를 통해 공개적으로 주장했다는 점에서 중국 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도 충격을 주었다.
언론 통제가 엄격한 중국에서는 그동안 전세계를 휩쓴 미투(Me Too) 자체가 적었고 공산당 고위 인사에 대한 사례는 더욱 드물었다. 특히 이른바 ‘개혁개방’과 함께 현재의 공산당 집단영도체제가 정착한 후 7인의 최고지도부 구성원인 정치국 상무위원들은 재임이나 퇴임 후 어떠한 형사 처벌도 받지 않는다는 것이 ‘불문율’처럼 여겨져 왔다.
이번에도 중국의 ‘만리방화벽’이 작동했다. 펑의 글은 인터넷에 올라온 지 20여분만에 지워졌고 현재 중국 인터넷상에서는 관련 게시물은 모두 사라졌다. 펑솨이가 폭로 수단으로 사용한 그의 웨이보 계정은 현재 검색 불가능하다. 다만 글 자체는 캡처의 형태로 이미 광범위하게 퍼진 상태다.
장가오리 전 부총리의 이름이 언급됐고 세계 언론이 주목한다는 점에서 이번 사건이 그냥 그대로 묻히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2012년 시진핑 집권 이후 부정부패에 대한 대대적인 단속이 이뤄졌고 이전에서 성적 비리로 처벌받은 관료들이 잇따랐다는 점에서 현재까지의 불문율을 그대로 적용하기는 쉽지 않기 때문이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펑솨이의 폭로 이유와 사실 관계와는 별도로 이번 사건은 다음 주 열리는 6중전회를 앞두고 파장을 불러오고 있다. 이번 6중전회는 시진핑의 집권 3연임이 결정될 것으로 보이는 내년 가을 20차 공산당 전국대표대회(당대회)를 앞두고 가장 중요한 행사다.
소식통들은 이번에 가해자로 지목된 인물이 시진핑의 주요 정적으로 꼽히는 장쩌민 전 국가주석파(이른바 상하이방)의 주요 인물이라는 점에 먼저 관심을 보이고 있다. 중국 남부 푸젠성 진창 태생인 장 전 부총리는 정쩌민 전 주석의 측근인 리창춘 전 정치국 상무위원에게 발탁돼 중용된 인물이다.
리창춘은 1998년 광둥성 서기 부임 후 장가오리를 개혁개방 상징적 도시인 선전시를 맡겼다. 장쩌민도 2000년 광둥에서 ‘3개 대표론’을 발표하며 ‘선전모델’을 극찬하고는 그를 산둥성 당서기로 발탁한 바 있다.
그는 시진핑이 공산당 총서기 겸 국가주석 첫번째 임기를 시작한 2012년 18차 당대회에서 ‘7인의 최고 지도부’인 정치국 상무위원으로 발탁돼 권력의 정점을 올랐다. 당연히 장쩌민파에서 시진핑파를 견제하기 위해서 박아 놓은 ‘말뚝’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이에 따라 장가오리의 몰락은 결과적으로 시진핑에 유리한 데 이는 여전히 권력의 한 부분을 차지하며 자신의 장기집권 시도를 훼방 놓을 수도 있는 장쩌민파에 중대한 경고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장 전 부총리와 같은 고위 정치 지도자에 대한 공개적 비난은 전례가 거의 없지만, 중국 공산당은 실각한 간부들의 성적 비리를 폭로하는 전통을 가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다만 시진핑 주석에게 악재라는 지적도 없지 않다. 이는 그동안 강조해왔던 도덕성 유지와 함께 권력자들 간의 동반 책임론에 따른 것이다. 현재 펑솨이의 주장대로라면 장 전 부총리의 ‘범행’ 시기가 그의 2012~2017년 5년간의 공산당 정치국 상무위원 시기와는 겹치지 않는다. 그래도 시진핑 주석이 장 전 부총리와 같은 상무위원급으로 중난하이에서 함께 일했다는 점에서 관리책임이 없다고 할 수는 없는 셈이다.
시진핑은 집권과 동시에 장쩌민파 가운데 저우융캉 전 정치국 상무위원, 궈보슝·쉬차이허우 전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 등을 부정부패로 처벌한 적이 있다. 그런 상황에서 장 전 부총리를 처벌하지 않을 경우 모순적인 상황에 처하게 된다.
하지만 ‘경고’ 이상의 처벌을 위해서는 실제 사실을 확정해야 하는데 이는 중국 최고지도부 내의 추문으로 이어지고 권력투쟁도 발발할 가능성이 있다. 시진핑이 최근 부쩍 부정부패 척결을 외치는 것도 퇴로를 막은 셈이다.
/베이징=최수문특파원 chsm@sedaily.com
베이징=최수문 특파원 chsm@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