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좋은 관계 원해” 밝히는 아프간 탈레반 대변인 - 31일(현지시간) 아프가니스탄 수도 카불 하미드 카르자이 공항에서 이슬람 무장 조직 탈레반의 자비훌라 무자히드 대변인(가운데)이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미군이 전날 아프간에서 완전히 철수한 가운데 그는 “미국과 좋은 관계를 원한다”고 선언했으며, 아프간전 종식과 관련해서는 “아프간 국민에 대해 축하한다”고 밝혔다. 2021.8.31 AFP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아프가니스탄을 장악한 탈레반이 동성애자의 명단을 확보하고 대대적인 처벌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프랑스24 등 해외 언론의 2일 보도에 따르면 탈레반은 동성애자에게 샤리아법을 적용해 사형에 처할 수 있도록 하는 법적 해석을 준비 중이다.
지난 8월 30일 미군 철수 이후 아프간을 장악한 탈레반은 꾸준히 동성애자를 색출하고 이들을 비난하며 폭력을 휘둘러 왔다. 지난 9월 이름이 공개되지 않은 아프간 동성애자 남성은 탈레반을 피해 은신처에 몸을 숨겼다가 탈레반에 속아 은신처 밖으로 나온 뒤 끔찍한 폭행을 당했다.
아프가니스탄을 장악한 탈레반 AFP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탈레반의 눈을 피해 탈출을 돕겠다는 유인에 속았던 이 남성은 탈레반에게 구타뿐만 아니라 강간까지 당했다고 주장했다. 그의 사연은 터키에서 활동하는 인권운동가 아르테미스 아크바리에 의해 세상에 알려졌다.
아크바리는 ITV와 한 인터뷰에서 “마지막 미군이 탈레반을 떠나면서, 탈레반의 통치 아래 동성애자의 삶이 어떨지를 보여주는 초기 사례일 뿐”이라면서 “탈레반은 전 세계를 향해 ‘우리는 변했고 여성의 권리나 인권에는 전혀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말하지만 모두 거짓말이다. 탈레반의 이념이 바뀌지 않았으니, 탈레반도 변한 것이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아프간 유일의 성 소수자 인권보호단체인 레인보우 레일로드의 키마힐 포웰 이사는 프랑스 24와 한 인터뷰에서 “우리는 탈레반이 동성애자를 포함한 성소수자의 ‘킬 리스트’(Kill List)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확실히 알고 있다”며 우려를 감추지 못했다.
포웰에 따르면 탈레반이 손에 쥔 것으로 추정되는 성 소수자 명단은 미군이 철수하기 며칠 전부터 미군 철수가 완료된 뒤 몇 주 후까지 발생한 권력 공백기에서 얻었을 가능성이 높다. 수도 카불이 함락된 뒤 많은 정보가 공유됐는데, 이 가운데 성 소수자 명단도 포함돼 있었을 것이라는 추측이다.
이후 위 남성의 사례처럼 탈레반의 유인책과 사칭, 협박 등 적극적인 박해를 통해 명단을 보완한 것으로 보인다.
포웰은 “우리에게 연락을 해 온 성 소수자들은 우리 단체와 연결되어 있다고 주장하는 누군가로부터 개인 정보와 여권을 요구하는 미스터리한 이메일을 받았다고 말했다. 이런 과정을 통해 정보가 유출된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실제로 미국 매체 더 힐은 지난 9월 “일부 동성애자는 가족과 조용히 살고 싶다면 다른 성소수자의 명단을 넘기라는 협박과 회유를 받고 있다”고 전하기도 했다.
영국으로 탈출한 아프간 국적 성 소수자들의 여권 (현지 인권단체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레인보우 레일로드 측은 탈레반의 위협을 받는 개인을 안전하게 구출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있지만, 사복을 입은 탈레반이 갑작스럽게 집에 들이닥친 뒤 그들이 성 소수자라는 것을 입증하는 정보를 발견하고 이를 토대로 폭행하는 등 박해를 이어가고 있다고 주장했다.
탈레반은 성 소수자들이 아프간을 탈출하는 것을 막기 위해 그 자리에서 여권을 태우고 있으며, 이 때문에 인권단체가 이들을 찾아내 대피시키는 일은 더욱 어렵게 됐다.
완전 국가와 정상 정부를 꿈꾸는 탈레반은 아프가니스탄을 장악한 뒤 세계 각국에 온건한 메시지를 강조해 왔지만, 샤리아법을 따르는 이상 여성과 성 소수자에 대한 인권 탄압은 여전히 이어질 것이라는 예측은 현실이 되고 있다.
송현서 기자 huimin0217@seoul.co.kr
▶ 재미있는 세상[나우뉴스]
▶ [페이스북]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