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19 (목)

대출규제 풍선효과…서울 6억 이하 아파트로 수요 '집중'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10월 매매건수 비중 올해 최고치

가구수 비중은 연초 대비 반토막

성동·광진·송파서 매물 실종

타지역도 매물 품귀·가격 ‘급등’

[이데일리 김나리 기자] 정부의 부동산 대출규제 등 여파로 서울 내 6억원 이하 아파트 매물이 빠르게 소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인 거래 위축 속에서 6억원 이하 아파트로 수요가 몰리면서 상대적으로 매매가 활발하게 이뤄지는 모양새다.

이데일리

(사진=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31일 직방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 통계를 집계한 결과에 따르면 10월 들어 지난 28일까지 등록된 서울 아파트 매매 계약 건수는 930건으로 집계됐다. 이중 매매 가격 6억원 이하는 347건으로 37.3%를 차지했다.

올해 1∼6월 30% 내외에서 움직이던 서울 6억원 이하 아파트 매수 비중은 7∼9월 20% 안팎 수준으로 낮아졌다. 그러다가 이달 들어 올해 월간 최고치를 기록했다.

거래 등록 신고 기한(30일)을 고려하면 이달 6억원 이하 아파트 매매 건수에는 변동이 있겠지만 매매 비중 추이가 바뀌기는 어려울 것으로 분석된다.

실제 이달 마지막 주 서울 6억원 이하 아파트 매매 비중은 일별로 40% 가까운 수준을 계속 유지했다. 금융당국의 가계부채 총량 규제 방침에 따라 지난달부터 시중은행들이 대출을 축소·중단하거나 대출금리를 인상하면서 중저가 아파트에 매수 쏠림이 일어난 것으로 풀이된다.

대표적인 서민 주택담보대출로 분류되는 보금자리론은 6억원 이하 주택일 경우에만 받을 수 있다. 보금자리론은 부부합산 연소득 7000만원(신혼부부는 8500만원) 이하 무주택자가 6억원 이하 주택을 구입할 때 약정 만기 최장 40년 동안 2∼3%대 고정금리로 매달 원리금을 상환하는 주택담보대출이다.

최근 정부는 내년부터 총대출액 2억원을 넘는 대출자에 대해 개인별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을 적용하는 것을 골자로 한 가계부채 관리 강화 방안을 발표했다. 다만 보금자리론을 비롯한 정책서민금융상품은 DSR 산정 시 총대출액 계산에서 제외했다.

이 때문에 대출 규제를 피해 간 시세 6억원 이하 아파트 거래가 상대적으로 많아지는 매수 집중 현상은 앞으로도 더욱 심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고가주택이 많은 서울의 거래량이 점차 위축되는 숨 고르기가 이어지는 가운데서도 상환 능력 부담과 여신 규제가 덜한 소형 면적이나 6억원 이하 중저가 아파트의 매수가 증가하는 형태가 지속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 가운데 민간 시세 조사 업체인 부동산R114가 조사한 서울의 아파트 매매 시세 6억원 이하 가구 수는 올해 1월 초 25만9785가구에서 이달 말 13만9233만가구로 약 46.4% 급감했다. 부동산114가 시세를 조사한 전체 가구 수(124만506가구) 대비 11.2%에 불과한 수준이다.

구별로 보면 6억원 이하 비중이 가장 낮은 곳은 성동구(0.40%)였고 광진구(0.61%)와 송파구(0.96%)도 1%에 못 미쳤다. 용산구(1.15%), 동작구(1.73%), 강동구(1.96%), 중구(2.41%), 강남구(2.82%)도 6억원 이하 아파트 비중이 1∼2%대에 그쳤다.

이처럼 6억원 이하 아파트에 매수 수요가 쏠리며 매물이 빠른 속도로 사라지자 매맷값은 6억원에 수렴하며 급등하는 추세다.

서울시 도봉구 방학동 ‘거성학마을아파트’ 전용 59.99㎡는 지난 7월까지만 하더라도 4억원대에 팔렸지만, 이달 13일 5억9000만원(18층)으로 매매 가격이 급등했다.

서울시 중랑구 신내동 ‘다우훼밀리’ 전용면적 59.96㎡는 지난해 3억∼4억원대에서 올해 2월 26일 5억5000만원(15층)으로 매맷값이 뛰었고, 지난 14일에는 5억7700만원(9층)에 매매 계약이 체결됐다.

이 단지 근처에서 영업하는 한 부동산중개업소 대표는 “요즘 아파트값은 계속 오르고 정부에서 대출을 옥죄면서 6억원 이하의 매물을 찾기 힘들다”며 “6억원에 매수 의사를 밝히고 대기하는 사람들도 많다”고 전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