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이슈 미얀마 민주화 시위

국제사회發 미얀마 유혈사태 재연 우려… 민주세력, 통합지휘부 구축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군부, 국제사회 개입 직후 최소 3회 학살 만행 이력
위기감 고조... 'NUG+반군' 집단지도체제 구성 나서
한국일보

미얀마 현지매체 인더스 뉴스가 지난 6월 5일 남부 에야와디주에서 시민 20여명이 군부에 의해 학살됐다는 소식을 전하고 있다.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캡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아세안) 정상회의에서 배제된 미얀마 쿠데타 군부가 시민들을 상대로 유혈 사태를 일으킬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국제사회의 제재나 개입이 발생할 경우, 시민사회의 동요를 막기 위해 이미 수차례 선제적 폭력을 행사했던 군부이기에 위기감은 어느 때보다 높다. 미얀마 민주진영 역시 잔혹한 학살을 막기 위해 통합지휘부를 설치하는 등 대책 마련에 나섰다.

29일 미얀마 나우 등 현지 매체에 따르면, 군부가 국제사회의 개입에 대한 반작용으로 시민들을 학살했던 사례는 올해에만 최소 세 차례다. 첫 사건은 쿠데타 발발 한 달 뒤인 올해 3월2일 "군부의 폭력 자제를 요청한다"는 아세안 외교장관의 첫 성명이 나온 다음 날 터졌다. 당시 군부는 민주화를 요구하며 평화적으로 행진하던 시위대 30명을 거리낌없이 사살했다. 쿠데타 초기 실탄 발사를 자제하던 군부가 시민 학살을 본격화한 시점이다.

만행은 6월에도 이어졌다. 군부는 같은 달 4일 림 족 호이 아세안 사무총장이 자신들의 수장인 민 아웅 흘라잉 최고사령관을 만나 평화적 사태 해결을 촉구하자, 에야와디주 등에서 20명의 무고한 시민의 목숨을 빼앗았다. 보름 뒤에는 사가잉주 등에서 하루 새 최소 13명의 시민이 군부의 총탄에 맞아 쓰러졌다. 유엔이 군부에 대한 금수조치 결의안을 통과시킨 소식이 저항의 새로운 동력이 되는 것을 막기 위한 조치였다.

한국일보

미얀마 시민저항군에 합류한 한 시민이 국경지대의 소수민족 반군 훈련소에서 사격 연습을 하고 있다. 미얀마나우 캡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미얀마 민주세력의 중심 축인 국민통합정부(NUG)는 학살이 다시 일어나지 않도록 선제 조치에 나섰다. NUG 국방부는 전날 "군부를 겨냥한 NUG 산하 시민저항군 및 소수민족 반군의 합동 공격과 방어가 단일 지휘 계통에 의해 수행되도록 '중앙지휘조정위원회'(중앙지휘위)를 구성했다"고 밝혔다. 중앙지휘위는 NUG 국방부 인원과 반군 지도자들이 집단지도 체제 형식으로 운영한다.

중앙지휘위는 반군 및 시민군의 주요 활동 거점을 중심으로 전국에 5개 사령부를 설치한 뒤 중앙에는 NUG직할부대를 편제했다. NUG 측은 "중앙지휘위 수장과 참여한 반군 리스트는 보안상 공개할 수 없다"며 "각 지역에서의 저항 활동이 원할하도록 무기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고만 설명했다. 향후 중앙지휘위는 아직 동맹에 참여하지 않은 반군들과 대화와 협상을 진행하면서, 새로 합류한 시민군을 국경지대의 반군 기지로 보내 기초군사 훈련도 이어갈 계획이다.


하노이= 정재호 특파원 next88@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