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폭발 방지 '탁월'… 청주대, 高안전성 전고체 전지 개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부매일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팀, 5년 연구 '성과' 이차전지·미래 핵심 산업 활성화 등 기대

청주대학교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팀이 개발한 플렉서블 PV-EES와 스트레처블 PV-EES 에너지 융합 소자.[중부매일 이지효 기자] 청주대학교(총장 차천수) 에너지융합공학전공 김제하 교수가 이끄는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팀이 상용화 가능한 고에너지 밀도, 고안전성의 전고체 전지를 개발했다.

전기자동차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세계 각국에서 차세대 배터리 개발 경쟁이 치열한 가운데 청주대 연구팀의 안전성을 높인 전고체 전지가 눈길을 끌고 있다.

현재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는 상용화 리튬이온 이차전지는 유기계 액체 전해질과 고분자필름 분리막을 사용함으로써 화재나 폭발의 위험성을 내재하고 있다.

하지만 전고체 전지는 이온 전도성 세라믹 기반의 고체 형태 전해질로 액체 전해질과 고분자 분리막을 동시에 대체함으로써 화재와 폭발을 방지할 수 있다는 강점을 지니고 있다.

안정성을 확보한 우수한 전고체 전지는 앞으로 이차전지 시장의 게임체인져(기존 산업구도를 완전 바꾸는 새로운 기술)로 급부상하고 있으며, 국내뿐 아니라 세계 각국에서 많은 자본을 투자해 상용화 기술 개발에 노력하고 있는 분야이다.

청주대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팀은 참여기업에 기술을 이전해 지난 5년 간 전고체 전지 상용화 기술 개발에 힘썼다.

이러한 노력에 힘입어 단위셀 기준 에너지 밀도 270Wh/kg 이상의 수명 2000사이클 이상을 확보했다.

10Ah급의 이 상용화 전지는 2000사이클 후에도 86.3%의 용량 유지율을 확보해 세계적으로 가장 우수한 특성을 보이는 전고체 전지로 분석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130도 이상에서도 폭발하지 않으며 못으로 관통하여도 화재나 폭발이 발생하지 않는다.

김제하 청주대 교수는 "전고체 전지의 상용화를 통해 전기자동차, 에너지 저장시스템, 무인기 등 다양한 분야 산업화에 촉매제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예상되며, 또한 충북의 주력 분야인 이차전지 산업 활성화에 이바지할 것"이라며 "하루빨리 청주대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팀의 전고체 전지가 적용돼 화재나 폭발 없이 소비자가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 에너지저장시스템 등이 나오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