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6 (금)

의사 대출금리>직장인···틀어막기식 규제에 기현상 확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도 남은곳 찾아 수요자 헤매기도

"대출총량 관리 땐 시장 왜곡 초래"

정부, 직접규제 부작용 알고도 강행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정부의 고강도 가계대출 조이기로 금융시장의 뒤틀림 현상이 곳곳에서 포착되고 있다.

또 의사·변호사 등 전문직의 대출금리가 일반 직장인보다 높은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신용도와 대출금리가 거꾸로 움직이고 있는 것이다. 19일 금융권에 따르면 A 은행의 전문직 신용대출 최저 금리는 18일 기준 3.37%로 이 은행의 일반 직장인 신용대출 최저 금리(3.19%)보다 오히려 높았다. B 은행 역시 전문직 신용대출 최저 금리는 3.02%였지만 일반 직장인 최저 금리는 2.75%이었다. 전문직의 경우 생계형 등 급전이 필요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낮고 돈을 한 번 빌리면 한도가 높아 가계부채 총량도 빠르게 늘릴 수 있다. 이에 금융 당국이 지난해부터 은행권에 속도 조절을 요구했고 그 결과 금리도 더 높아진 것으로 해석된다.

눈에 보이는 담보가 있는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신용대출보다 높은 기현상도 포착된다. KB국민·신한·하나·우리 등 4대 은행의 18일 기준 주담대 금리는 3.03~4.67%(신규 코픽스 기준)에 분포됐다. 반면 신용대출 금리는 3.18~4.43%(신용 1등급 대출자 1년 대출 기준)였다. 주담대 금리가 상단 기준으로 신용대출보다 높은 셈이다. 고정금리 주담대를 보면 격차는 더 벌어진다. 3.14~4.95%를 기록하며 상단 기준 신용대출보다 0.5%포인트 이상 높았다. 주담대는 주택을 담보로 잡기 때문에 신용대출보다 금리가 낮기 마련인데 시장 원리와는 정반대의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 금융 당국도 강한 규제가 부작용을 낳을 수 있다는 점을 인지하고 있다. 정부는 2015년 12월 가계부채 대응 방향을 발표하면서 자료를 통해 “직접적인 가계대출 총량 관리를 하게 되면 형식적으로는 은행을 규제하는 것이지만 실제 부담은 돈을 빌리는 사람에게 귀착될 가능성이 높다”며 “주택담보대출 총량을 당국에서 관리하면 은행은 이에 맞춰 돈을 풀게 되고, 자금 수요가 공급을 초과하면서 금리가 오르거나 신용 할당이 발생하는 등 시장 왜곡을 초래할 수도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가계부채의 심각성에 방점을 찍고 관련 규제를 계속하는 모양새다.

이에 따라 부작용 우려도 커지고 있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과 교수는 “가계대출 관리의 필요성은 인정하지만 총량으로 규제하는 것은 금리 등 금융시장 왜곡으로 연결되고 대출자가 돈을 갚을 능력이 있음에도 2금융권으로 밀려나 더 높은 금리를 내야 하는 등 가계부채의 질 측면에서 더 위험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고 꼬집었다.

현장 혼란도 현재 진행형이다. 국내 최대 부동산 인터넷 커뮤니티에 따르면 한 사용자는 “주담대를 11월에 받는 것이 좋을까요, 아니면 내년 1월 은행이 새 대출 총량을 받아든다고 하는데 그때 받는 것이 나을까요”라며 “부동산 정책으로 실거주하는 사람도 마음 졸이고, 대출받는 것까지 어려움이 있어야 하는지 힘들다”고 어려움을 토로했다.

수요자들이 대출 총량 한도가 많이 남은 곳을 찾아 헤매는 촌극도 계속되고 있다. 최근 기업은행이 총량 규제와 관련해 아직 추가 대출 여력이 남아 있다는 입장을 밝히자 인터넷 커뮤니티에는 기업은행 계좌 개설을 문의하는 글이 게재되기도 했다.

이태규 기자 classic@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