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5 (목)

이슈 미래 모빌리티 생태계

美 IT기업 잇단 脫실리콘밸리…테슬라도 텍사스로 본사 이전(종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스크 CEO, 연례 주주총회서 본사 이전 계획 발표

"실리콘밸리, 통금 힘들고 집값도 비싸"

親기업 정책 텍사스…물가·부동산 저렴, 稅부담도 적어

17년째 사업하기 가장 좋은州…HPE·오러클도 텍사스行

[이데일리 방성훈 기자] 미국 캘리포니아주 실리콘밸리의 정보기술(IT) 기업들이 하나둘씩 텍사스주로 본사를 옮기고 있어 주목된다.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 휴렛팩커드 엔터프라이즈(HPE), 파일 공유 플랫폼 드롭박스, 소프트웨어업체 오러클에 이어 전기자동차 제조업체인 테슬라까지 텍사스를 새로운 터전으로 택했다.

이데일리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 (사진=AFP)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테슬라, 텍사스 오스틴에 새 둥지…머스크는 작년에 이사

7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는 이날 텍사스주 오스틴에서 열린 연례 주주총회에서 텍사스 오스틴으로 본사를 이전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현재 테슬라 본사는 캘리포니아주 팰로앨토에 위치해 있다.

머스크 CEO는 “(현재 본사가 있는) 캘리포니아주에서도 (사업) 활동을 확장할 계획이지만, 샌프란시스코 베이(실리콘밸리) 지역에선 확장할 수 있는 능력이 제한된다. (본사에서 인근지역인) 프리몬트 공장으로 가려는데도 (도로가) 꽉 막혀 있다. 마치 캔 안에 들어 있는 스팸과도 같다”고 말했다.

그는 또 실리콘밸리에선 “(높은 가격 때문에) 집을 마련하기가 어렵고, (이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먼 지역에서 통근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같은 머스크 CEO의 주장에 주주총회에 참석한 많은 사람들이 고개를 끄덕이며 호응했다고 WSJ는 전했다.

캘리포니아 로스앤젤레스(LA)에서 20년 이상 거주해온 머스크 CEO 역시 지난해 12월 텍사스 오스틴으로 이사했다. 당시 머스크 CEO는 “텍사스에 테슬라의 새로운 공장을 짓고 있는데다 스페이스X의 텍사스 로켓 생산시설에서 ‘스타십’을 개발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이사 배경을 설명했다.

하지만 머스크 CEO가 캘리포니아주를 떠나게 된 진짜 이유는 ‘높은 세율’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텍사스와 주도(州都)인 오스틴은 세금 우대 혜택을 앞새워 지난 수년간 많은 IT 기업 및 스타트업을 적극 유치해 왔다. 테슬라의 기가팩토리가 지어지고 있는 트래비스 카운티는 테슬라에 1470만달러의 세금감면 혜택을 제공하기로 했다.

캘리포니아주 앨러미다 카운티가 코로나19 방역 지침에 따라 프리몬트 공장을 폐쇄했던 것도 머스크 CEO의 이사 결심을 도왔다는 진단이다. 공장 폐쇄로 분노한 머스크 CEO는 앨러미다 보건 당국자들 “파시스트”라고 비난하며 본사 이전을 예고하고 즉각 실행에 옮겼다.

머스크 CEO는 이사 당시 “캘리포니아 주정부의 규제와 관료주의가 혁신 사업가들을 훼방하고 있다. 그들은 오랜 시간 동안 우위에 있었기 때문에 혁신사업을 당연하게 받아들인다. 혁신 가를 안일하게 보고 현실에 안주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캘리포니아주의 강도 높은 기업 규제를 강력 비판하는 동시에, 혁신 사업가인 자신에게 아무런 혜택도 주지 않는 캘리포니아주의 처우에 불만을 표한 것이다.

이데일리

(사진=FP)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낮은 세율 등 親기업 환경에 HPE·오러클 등도 텍사스行

HPE와 오러클 등 테슬라보다 먼저 실리콘밸리를 떠나 텍사스로 본사를 옮긴 기업들 역시 ‘낮은 세율’이 가장 큰 영향을 끼쳤다. 미국은 주마다 소득세율이 다른데 캘리포니아주가 13.3%로 가장 높다. 다음으로는 하와이(11%), 오리건(9.9%), 미네소타(9.85%), 로와(8.98%) 등의 순이다. 반면 텍사스주를 비롯해 플로리다, 네바다, 워싱턴, 알래스카 등 9개 주에서는 소득세를 부과하지 않는다.

더불어 저렴한 인건비, 물가, 부동산 가격, 적은 규제 등 친(親)기업적 환경은 기업들에겐 매력적이다. 경영전문 격월간지 치프이그제큐티브매거진은 지난 5월 미 CEO 38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연례 설문조사 결과를 보도하며, 텍사스주가 2005년부터 17년 연속 사업하기 가장 좋은 주 1위를 차지했다고 전했다. 50개 주 중 ‘최악’은 캘리포니아였다. “막강한 인적 자본을 갖췄으나 운영 비용이 많이 든다”는 이유였다.

한국 삼성전자 역시 오스틴에 반도체 생산법인(SAS)을 두고 있다. 애플도 이 곳에 내년 신사옥을 준공하는 등 현재는 5500여개 IT기업과 스타트업이 오스틴에 밀집해 있다. 오스틴은 실리콘밸리를 위협한다는 뜻에서 ‘실리콘힐(Silicon Hill)’로 불리고 있다.

높은 세율 때문이 아니더라도 코로나19 팬데믹(대유행)을 계기로 유연한 근무가 자리잡은 만큼, 주요 IT기업과 사업가의 탈 실리콘밸리 현상이 가속화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트위터 등 이미 선도적인 IT 기업들은 ‘어디서나 일할 수 있는’ 정책을 채택하기 시작했다. 부동산 중개업체 애틀래사에 따르면 올해 1분기 텍사스 오스틴에서 도시 내 거주자가 이사한 사례보다 지난해까지 샌프란시스코에 살았던 주택 구매자가 더 많았다. 구글 직원 약 50명, 페이스북이 23명, 애플과 아마존 직원이 각각 17명이 텍사스로 주거지를 옮겼다. 원격근무가 가능해진 덕분이다.

WSJ은 지난 7월 이런 현상에 대해 “수십년 동안 가장 인기 있는 분야인 IT직업 중 일부를 얻으려면 실리콘밸리 인근에 살면서 엄청난 주거비용과 긴 통근 시간을 견뎌야 했지만, 팬데믹 이후 실리콘밸리로 꼭 이주하지 않더라도 일을 할 수 있게 됐다. 이들 기업 임직원드른 저렴한 지역을 찾아 샌프란시스코를 떠나고 있다”며 “그간 미 IT업계를 주도해온 실리콘밸리 위상이 하락할 가능성이 커졌다”고 진단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