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15 (금)

이슈 책에서 세상의 지혜를

韓 최초 순교 윤지충·권상연 무덤엔 서로의 위치 알리는 표식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천주교 전주교구 유해발굴 결과 보고

윤지충 무덤 지석엔 ‘권공묘재좌’

왼쪽에 권상연의 묘 있다고 표시

한 사람 무덤 찾으면 둘다 발견케

지석에 위치 표시된 점 흥미로워

고고학·해부학적 검증결과 눈길

윤지충 키 165㎝에 충치 4개

순교 당시 참형 흔적 고스란히

세계일보

전북 완주 초남이성지에서 한국 천주교 최초 순교자인 윤지충 바오로, 권상연 야고보, 윤지헌 프란치스코의 유해가 발굴됐다. 사진은 초남이성지의 개장 전 모습. 전주교구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전북 완주 초남이성지는 천주교 순교자들의 유해가 묻혀 있다는 구전이 전해지던 곳이다. 실제 누구의 유해가 어디에 묻혀 있는지는 분명하지 않았다. 2005년 초남이성지로 부임받은 김환철 신부가 이곳에 십자고상(十字苦像)을 세워 묘지임을 나타냈을 뿐이다. 지난 3월 초남이성지 김성봉 신부가 이 일대를 성역화하면서 무연고 분묘 10기가 처음으로 모습을 드러냈다. 이들 중 5기와 3기에서는 분묘의 주인을 기록한 백자사발 지석(誌石)이 나왔는데, 한국천주교 최초의 순교자인 윤지충 바오로와 권상연 야고보의 것이었다.

천주교 전주교구는 유해 발굴 이후 약 4개월간의 분석을 거친 뒤 유해가 순교자들의 것이 확실하다는 교령을 선포했다. 교회법적 절차와 정밀감식에서 유해의 주인을 확인했다는 의미다. 기록으로만 전해지던 순교자들의 역사가 230여년 만에 실체로 드러난 셈이다. 지난 24일 초남이성지에서 열린 ‘유해 진정성에 관한 보고회’에서 김성봉 신부는 “지극히 드문 경우라 참고할 사례를 찾기도 어려웠다”며 “유해의 진정성에 대한 가르침을 따르기 위해 교회 문서를 바탕으로 연구했다”고 설명했다.

◆“왼쪽 무덤은 권상연, 오른쪽은 윤지충”

무덤의 주인을 나타낸 백자사발 지석은 발굴 당시 이장업체가 수습했다. 지석은 5호기와 3호기의 무덤 중앙부에서 출토됐는데, 무덤의 주인이 윤지충과 권상연이라는 명문이 상세하게 기록돼 있다.

먼저 윤지충의 지석에는 성균관의 소과(小科)인 생원시에 합격한 사람을 뜻하는 ‘成均生員’(성균생원), 윤지충을 높여서 부른 윤공의 묘지라는 뜻으로 ‘尹公之墓’(윤공지석)이 적혔다. 눈에 띄는 것은 ‘權公墓在左’(권공묘재좌)라는 문구다. 윤지충의 무덤 왼쪽에는 권공(권상연)의 묘가 있다는 뜻이다. 실제 윤지충의 무덤 왼쪽에는 권상연의 유해와 지석이 발견됐다. 권상연의 지석에서도 ‘尹公墓在右’(윤공묘재우)라는 문구가 발견됐다. 이들은 각자 서로의 위치를 설명하고 있다. 둘 중 한 사람의 무덤만 찾아도 다른 사람의 무덤을 찾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권상연의 지석에는 일반 유학자를 칭하는 의미로 보이는 ‘學生’(학생)과 권상연을 높여 가리킨 ‘權公之墓’(권공지묘), 생전의 이름들인 ‘諱尙然’(휘상연), ‘字景參’(자경삼) 등이 적혔다.

이영춘 호남교회사연구소 소장은 “두 무덤 속 지석들이 윤지충과 권상연의 위치를 표현한 점이 흥미롭다”며 “무덤의 입지와 형태, 장축 방향, 유물의 기록내용, 편년 등을 봤을 때 두 유해의 주인이 복자들의 것과 부합하게 판단된다”고 말했다. 이들과 함께 유해가 발견된 윤지충의 동생 윤지헌 프란치스코의 묘에서는 별도의 지석이 발견되지 않았다. 다만 비슷한 시기에 조성한 것으로 추정되는 백자제기가 확인됐다.

세계일보

윤지충 바오로와 권상연 야고보의 인적사항이 적힌 백자사발지석.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윤지충 키 165.2㎝, 치주질환 앓아”

전주교구는 지석을 판독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고고학·해부학적 검증을 거쳐 유해의 주인을 확인했다. 먼저 세 순교자의 유해를 분석한 결과 뼈의 형태가 아시아계 남성의 것으로 판별됐다. 이들의 넙다리뼈(대퇴골)와 정강이뼈로 봤을 때 실제 신장은 윤지충이 165.2±3.8㎝, 권상연은 152.5±3.8㎝, 윤지헌은 163.9±3.8㎝로 추정됐다. 이들 뼈와 치아로 사망 당시 연령을 분석한 결과 세 순교자에 부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윤지충의 경우 생전의 치아 상태를 추정할 수 있었는데 13·12·22·23번 치아가 충치라는 점도 파악됐다.

유해에는 세 순교자가 겪은 참형의 흔적이 그대로 묻어났다. 윤지충과 권상연은 유해의 대부분이 비교적 온전한 상태였다. 하지만 윤지충은 목뼈에서 예기(銳器·날카로운 도구) 손상이 관찰됐고, 권상연은 목뼈 일부가 발견되지 않았다. 이는 참수형의 흔적으로 추정됐다. 윤지헌의 경우에는 팔꿈치 아래와 무릎 아래의 뼈가 없었는데 능지처참형으로 사지가 절단됐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들 유해는 안동권씨 친족 5명과 해남윤씨 친족 5명의 유전자와 대조를 거쳐 동일 부계의 혈연관계라는 점이 확인됐다. 형제지간인 윤지충과 윤지헌의 유해 역시 동일 부계로 파악됐다.

전주교구는 지난 4개월간의 분석 결과를 담은 보고서를 발간했다. 추후에도 지석에 표기된 무덤 조성 시기와 복자들의 실제 순교 시점의 차이 등을 분석한다는 계획이다. 치명자산성지의 김영수 헨리코 신부는 “이 보고서에 담긴 교회사적, 문화사적 성과의 기록이 앞으로 순교자들의 신앙 연구와 현양에 기여하리라 기대한다”고 말했다.

전주=권구성 기자 ks@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