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7 (수)

이슈 혼돈의 가상화폐

커지는 가상자산 시장…가상화폐 기반 대출로 집·차 산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신생 비은행 대출업체·블록체인 기반 자동화 플랫폼 이용
고객 대상 대출 잔액 1년 새 14억 달러→250억 달러로 급증


이투데이

비트코인 동전. 로이터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마이클 앤더슨(30) 씨는 암호자산(가상화폐) 프로젝트에 투자하기 위해 안정된 직장을 그만뒀을 정도로 열렬한 가상화폐 옹호론자다. 올해에는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처음으로 주택을 구입했다. 여기에서도 그는 은행에 의지하지 않고, 보유하고 있는 가상화폐(가상자산)을 담보로 주택 융자를 받았다.

최근 이처럼 자신이 보유한 가상자산을 활용해 주택이나 자동차를 구입하는 움직임이 확산하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소개했다. 이들은 신생 비은행 대출업체나 블록체인 기반의 자동화 플랫폼에서 대출을 받고 있다.

은행들과 마찬가지로 이러한 대출기관도 보통 예금을 받는다. 기존 은행과 다른 점이 있다면 예치 자산이 가상자산이라는 점이다. 평균보다 높은 이자가 붙는 이들 예금은 가상자산을 담보로 내놓은 대출자에게 대출을 제공하는 데 사용된다. 대출 형태 또한 다양하다. 대출자는 가상자산은 물론 달러와 같은 기존 법정통화나 그것에 고정된 ‘스테이블 코인’으로 대출받을 수 있다.

이 사업은 급격하게 확대되고 있다. 리서치업체 메사리(Messari)에 따르면 한 가상자산 대출 그룹은 개인이나 기관 투자자에 대한 대출 잔액이 1년 전 14억 달러에서 250억 달러(약 29조3600억 원)로 급증했다.

사람들이 가상자산 담보 대출을 이용하는 이유는 주식 포트폴리오를 담보로 대출을 받는 것과 같다. 즉, 자신의 베팅 규모를 축소하지 않고도 가격 상승 혜택을 누리기 위해서다. 예를 들어 이더리움 가격은 최근 1년간 10배 가까이 폭증해 이더리움을 담보로 하는 대출 평균 금리를 웃돌고 있다. 또 대출자들은 자본이득세를 피하고자 이 전략을 사용할 수도 있다.

가상자산 대출 서비스 플랫폼 셀시우스네트워크의 예금자들은 가격이 4만6000달러 이상인 비트코인 최대 1개당 6.2% 이자를 받을 수 있다. 대출자는 담보인정비율에 따라 0~8.95%의 대출 금리를 지불하게 된다.

앨릭스 마신스키 셀시우스네트워크 최고경영자(CEO)는 “대출을 위한 재원 일부는 저금리 환경에서 고수익을 적극적으로 추구하는 헤지펀드로부터 조달한다”며 “학자금 대출과 신용카드 채무 상환, 결혼 자금을 마련하려는 고객들에게 대출을 받을 것을 권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런 전략에는 실제 위험이 따른다. 기존 주식담보대출과 마찬가지로 가상자산 대출도 담보 가치가 떨어지면 대출기관이 마진콜을 발동해 모든 담보를 압류할 수 있다. 예금자 입장에서는 대출기관이 파산하거나 해킹에 따른 도난이 발생해도 예금자 보호 적용 대상이 아니어서 구제를 받을 길이 없다.

가상자산 대출에 대해 금융감독기관의 경계심도 높아지고 있다.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는 코인베이스의 가상자산 대출 계획을 조사하고 있으며 회사가 이를 실행에 옮기면 고소할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다. 뉴저지 증권당국은 7월 가상자산 대출업체 블록파이가 미등록 유가증권을 판매했다며 고발했다.

여전히 가상자산 대출 이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려는 사람이 많다. 한 로스앤젤레스(LA) 주민은 “보유 가상자산의 50%를 담보로 대출 받아 테슬라 자동차와 몽블랑 만년필, 비트코인 등을 매입했다”며 “대출 이자는 약 10%이지만, 남은 가상자산을 예금통장에 넣어 8% 이자를 받아 실제 지불이자를 낮췄다”고 말했다.

가상자산에 다시 투자하려고 대출 받은 사람도 있다. 1만4000달러 상당의 돈을 빌린 한 사람은 “대출을 밑천으로 이더리움을 사들였다”며 “연초 가격 하락에 고전했지만, 현재 내가 투자한 자산 가치는 6만 달러가 넘는다”고 강조했다.

[이투데이/변효선 기자(hsbyun@etoday.co.kr)]

▶프리미엄 경제신문 이투데이 ▶비즈엔터

이투데이(www.etoday.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