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서울대 “거리 두기로 대기 중 CO2 변화 첫 실증”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향신문]

경향신문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과 서울대학교 정수종 교수 연구팀이 코로나19 확산 이전과 거리 두기 1단계, 2.5단계 실시 기간 중 서울시내 이산화탄소 농도를 관측해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 도표. 서울시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코로나19로 인한 물리적(사회적) 거리 두기 단계에 따라 도심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가 달라진다는 점이 처음으로 확인됐다.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과 서울대학교 정수종 교수 연구팀은 16일 코로나19 확산 이전과 거리 두기 1단계, 2.5단계 실시 기간 중 서울시내 이산화탄소 농도를 관측·비교한 결과 인간 활동에 따른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량이 코로나19 확산 이전 24.82PPM에서 14.36PPM으로 약 42% 감소한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거리 두기 2.5단계 실시 중 이산화탄소 농도는 1단계 실시 중 농도에 비해 8%가량 감소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2019년 7월부터 지난해 9월까지 시 보건환경연구원과 서울대가 공동으로 운영 중인 관악산, 남산, 용산 등 3곳의 도심 이산화탄소 관측 자료를 분석한 것이다. 연구 결과는 지난 8월21일 국제학술지 ‘Atmospheric Pollution Research 12’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연구진은 “본 연구는 거리 두기에 따른 도심 대기 관측 이산화탄소 농도 변화를 밝힌 첫 사례”라며 “거리 두기 등 정책 강도에 따라 이산화탄소 농도 저감 효과가 크게 차이가 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고 했다. 그러면서 “같은 기간 서울 도심 내 주요 온실가스 배출원인 교통량과 유동 인구가 줄어들면서 배출량의 감소가 대기 중 이산화탄소 증가를 완화하는 역할을 한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정수종 교수는 “이산화탄소는 대기 중 체류 시간이 길어 농도 저감이 어렵다고 여기는데, 이 연구가 앞으로 온실가스 배출량 저감 노력을 통해 기후변화를 완화시킬 수 있는 과학적 근거를 제시했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허남설 기자 nsheo@kyunghyang.com

▶ [뉴스레터] 식생활 정보, 끼니로그에서 받아보세요!
▶ [뉴스레터]교양 레터 ‘인스피아’로 영감을 구독하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