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5 (수)

“국내 100대 기업 중 55%가 네이버클라우드 쓴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네이버, 클라우드로 B2B 넘어 해외 시장 공략

2023년까지 연 매출 80%를 기술에 투자 예정


[파이낸셜뉴스] 국내 100대 기업 중 절반 이상은 네이버클라우드를 쓰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인공지능(AI) 등 네이버 기술과 비즈니스 노하우가 녹아든 네이버클라우드 솔루션을 쓰고자 하는 기업 수요가 늘어난 결과다.

파이낸셜뉴스

네이버클라우드 사업총괄 김태창 전무가 16일 온라인 기자간담회를 통해 사업현황을 설명하고 있다. 네이버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연매출 4000억 달성 전망..전년比 46% ↑
네이버클라우드는 16일 온라인 기자간담회를 열고 “네이버의 고도화된 기술과 노하우를 활용하고자 하는 기업 수요가 증가하면서 현재 네이버클라우드 고객사는 법인 계정 기준으로 5만 곳 이상”이라며 “특히 100대 기업 중 55%가 네이버클라우드를 사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 2017년 클라우드 사업을 본격화한 네이버클라우드는 4년 만에 상품 및 기술 경쟁력에서 글로벌 사업자와 견줄 수 있는 수준으로 성장했다. 4년 전 22개 상품으로 시작한 네이버클라우드는 현재 제품 포트폴리오를 8배 이상 확대, 18개 카테고리와 189개 상품라인업을 갖췄다.

네이버클라우드 매출도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지난 2020년에는 매출 2737억 원을 달성, 전년대비 41% 성장을 기록했다. 이는 글로벌(29.3%) 및 국내(18.7%) 퍼블릭 클라우드 시장 성장률을 크게 웃도는 수치다. 올해는 연간 약 46% 성장한 약 4000억 매출 달성이 예상된다.

네이버클라우드는 핵심 경쟁력으로 ‘내재화된 원천기술’과 ‘하이퍼스케일급 투자’를 꼽았다. 이를 통해 국내는 물론 일본 등 아시아태평양 지역까지 사업을 확대할 계획이다.

네이버클라우드 사업총괄 김태창 전무( 사진)는 “검색, 쇼핑, 메신저, 동영상, 게임 등 인터넷상에서 가능한 거의 모든 서비스를 직접 개발 및 운영하며 쌓아온 네이버의 다양한 기술과 비즈니스 노하우를 네이버클라우드 솔루션에 접목해 고객사에 제공하고 있다”면서 “어떤 산업군의 고객이라도 최고 수준 IT역량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일본과 동남아 클라우드 시장 집중 공략
네이버클라우드는 원천기술 기반으로 서비스형인프라(Iaas), 서비스형플랫폼(PaaS), 서비스형소프트웨어(Saas), 하이브리드클라우드까지 보유하고 있다. 즉 고객사가 원하는 형태로 직접 상품을 개발하고 제공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네이버클라우드는 기술적 투자는 물론 3배 이상 인력 확충 및 세계 최고 수준의 하이퍼스케일 데이터센터를 확보하기 위해 친환경 데이터센터 ‘각 세종’을 구축하고 있다.

네이버클라우드 장범식 PaaS 서비스 개발 리더는 “2023년까지 연 매출 80%를 기술 및 인력에 투자해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할 것”이라며 “이를 기반으로 국내 시장 톱2, 일본과 동남아 지역에서 톱3 사업자로 확고히 자리매김해 글로벌 강자로서의 보폭을 넓혀 나갈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B2B #네이버클라우드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