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23 (목)

치매에 걸린 순간, 삶의 공간도 바뀌어야 할까···'서울형 치매전담실 디자인'이 답했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향신문]

경향신문

노인요양시설에 거주하는 어르신이 생활하는 방 옆에 어르신의 얼굴사진과 이름이 문패처럼 부착돼 있다. 서울시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치매에 걸리는 순간, 내가 살아온 삶의 공간도 바뀌어야 하는 것일까.’

이 질문에 쉽게 답을 할 수 없는 이유는 치매라는 병이 기존에 함께 살아온 사람들과 ‘공존’하는 것을 어렵게 하는 특징이 있기 때문이다.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24시간 내내 타인의 도움을 받아야하는 상황도 찾아온다. 그래서 대다수 치매 어르신은 노인요양시설이나 주야간보호시설에서 남은 삶을 이어간다.

서울시는 이 부분에 주목했다. 집을 떠나 시설에서 생활하게 되더라도 그 시설을 ‘내 집’과 같이 편안한 공간으로 만들 수 있다면 치매어르신들의 삶이 좀 더 나아지지 않겠냐는 것이다.

서울시는 치매 어르신이 노인요양시설 내 ‘치매전담실’에서 집과 같은 편안함을 느끼며 생활할 수 있는 맞춤형 ‘서울형 치매전담실 디자인’을 전국 최초로 개발했다고 16일 밝혔다.

‘치매전담실’은 기존 요양시설보다 넓은 1인 생활공간과 공동거실을 갖추고, 전문 요양인력이 맞춤형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치매어르신 전용 생활공간을 말한다. 2017년 치매국가책임제가 시행된 이후 일반 노인요양시설마다 치매전담실 설치가 진행 중이다.

경향신문

칙칙하던 간호스테이션과 복도(위쪽 사진)가 서울형 치매전담실 디자인을 적용해(아래쪽 사진) 밝고 화사하면서 개방된 느낌으로 바뀌었다. |서울시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시가 공개한 ‘서울형 치매전담실 디자인’은 ‘오픈소스’로 제공된다. 노인요양시설 내 치매전담실 설치를 원하는 사람은 누구나 도안을 가져다 활용할 수 있다. 서울형 치매전담실 디자인의 핵심은 치매어르신의 시선으로 바라본 ‘공간’에 있다. 요양병원이나 요양시설에 머물고 있지만 시설·병원이라는 느낌을 최대한 없애면서 치매 어르신의 행동패턴에 맞춘 디자인을 갖췄다.

이를 위해 길게 늘어선 복도 양 옆으로 배치된 병실에서 평생을 누워 지내도록 만들어진 기존 설계는 철저히 배제했다. 어르신들 간에 즐겁고 친밀한 관계가 형성될 수 있도록 공용공간을 최대한 활용하는 동시에 개인공간을 보장해 자존감을 지킬 수 있도록 했다.

경향신문

어르신들이 TV시청 정도만 가능했던 칙칙한 공동거실(위쪽 사진)이 서울형 치매전담실 디자인을 적용해 다양한 체험활동과 취미활동을 할 수 있는 개방형 공간(아래쪽 사진)으로 탈바꿈했다. |서울시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치매전담실 중앙에 공동거실을 배치하고, 공동거실을 중심으로 방을 배열한다. 이런 구조에서는 어르신들이 방을 나섰을 때 제일 먼저 밝고 환한 거실을 볼 수 있다. 이 디자인은 어르신이 병실 내에서만 머물지 않고, 좀 더 많은 활동을 할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또 거실 한 켠에 간이주방을 설치해 식사 시간마다 밥짓는 냄새를 직접 맡게 하고, 안전이 보장되는 한도 내에서 어르신이 직접 밥이나 국을 떠서 먹을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서울형 모델이 제시하는 풍경이다. 시설에 입소하기 전까지 유지했던 본인의 기능을 최대한 유지해 스스로 걷고, 스스로 먹을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실제 서울시가 진행한 전문가 회의에서 “치매전담실은 ‘생활형’이 적절하며 보행이 가능한 상태를 기본으로 설정해야 한다. 공간 내 휠체어가 많으면 인권적으로 문제가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라는 분석도 나왔다.

경향신문

노인요양시설 공동거실 한 켠에 간단한 조리가 가능한 간이주방이 설치된 모습.|서울시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어르신들의 ‘방’에 해당하는 생활실에는 집집마다 걸려있던 문패처럼 어르신의 이름과 사진을 붙이고, 생활실마다 손잡이 색깔을 달리해 어르신이 색 구별만으로도 자신의 방을 찾아갈 수 있도록 하는 디자인도 제안했다.

서울형 치매전담실 디자인은 최근 시립동부노인요양센터와 시립서부노인요양센터 두 곳에 처음으로 적용됐다. 서울시는 지난달 설치·공사를 완료하고 정식 운영에 들어갔다. 또 앞으로 건립될 시립실버케어센터와 기존 노인요양시설을 치매전담형으로 전환(개·보수)하는 경우에도 서울형 디자인을 적용한다는 계획이다.

주용태 문화본부장은 “오는 21일 ‘치매극복의 날’을 맞아 어르신들의 생활 환경 공간의 중요성을 널리 공유하고자 한다”면서 “서울시가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목소리를 들어 개발한 서울형 치매전담실 디자인을 적용해 공공요양 분야에서 선도적 사례를 만들어나가고, 민간 확산도 유도하겠다”고 말했다.

류인하 기자 acha@kyunghyang.com

▶ [뉴스레터] 식생활 정보, 끼니로그에서 받아보세요!
▶ [뉴스레터]교양 레터 ‘인스피아’로 영감을 구독하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