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산운용업계에서 잔뼈가 굵은 한 유명 매니저의 말입니다. 정부 규제 이슈에 카카오와 네이버 주가가 크게 떨어지자 소위 '개미'라 불리는 개인투자자들이 '폭풍 매수'로 대응에 나서면서 혹시나 하는 걱정에서 나온 말이지요.
지난 8일 카카오와 네이버 급락 당일 개미들은 두 종목 주식을 합해 1조 원(카카오 6206억 원, 네이버 3506억 원) 가까이 사들였습니다. 이후로도 순매수 행진은 계속돼 지난 13일까지 4거래일 동안 개미들은 카카오 1조411억 원, 네이버 5072억 원어치 끌어모았죠.
빚을 내는 일도 마다하지 않습니다. 8일 고객예탁금이 약 8조3000억 원 줄었습니다. 그 이튿날에도 90억 원 빠졌구요. 반면 융자잔고는 꾸준히 늘고 있습니다. 가진 돈으로 주식을 사다 모자르니 돈을 빌려서 사고 있다는 해석이 가능합니다.
이들 개인투자자들이 너도나도 카카오와 네이버 매수에 달려들고 있을 때 외국인 및 기관투자자들은 부지런히 내던지고 있습니다. 이달 8일부터 13일까지 외국인은 카카오(7504억 원), 네이버(3166억 원)를 더해 1조 원이 넘게 팔아치웠습니다. 같은 기간 기관의 순매도 규모는 카카오 3332억 원, 네이버 2054억 원입니다.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매도에 나서면서 주가는 쭉 미끄러졌습니다. 해당 4거래일간 카카오 주가가 19.2%, 네이버 주가는 8.2% 하락했습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업계에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는 것이 어쩌면 당연할지 모릅니다.
사실 개미들이 정보력과 자금력 그리고 시스템 등의 측면에서 외국인과 기관을 이기기란 쉽지 않습니다. 영원히 그 격차를 좁힐 수 없을지도 모를 일이구요.
얼마 전 자본시장연구원에서 나온 보고서를 봐도 그렇습니다. 개인이 직접투자를 통해 주식에서 높은 성과를 기대하기는 어렵다는 것이지요. 코로나19 국면에서 나타난 한국 주식시장 개인투자자의 거래행태와 투자성과를 분석한 결과, 개인투자자는 분산투자 수준이 낮고, 주가 변동성이 높은 종목에 단기적이고 투기적인 거래 행태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시장 수익률보다 저조한 성과로 이어졌고, 특히 신규투자자의 60%는 손실을 기록했다고 합니다.
당장은 그렇다해도 앞으로는 어떨까요. 지난해 이후 이른바 '동학개미'가 대거 증시에 유입되면서 개인투자자들이 조금씩이나마 스마트해져가고 있다는 얘기가 나옵니다. 더욱 치열해진 경쟁 속에서 차곡차곡 경험을 쌓아가고 있다는 의미로 읽으면 되겠지요. 금융투자업계에서는 보다 똑똑해진 투자를 하는 만큼 개인들의 수익률도 제고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펀더멘털에 대한 집중하고, 또 그런 부분들이 계속해서 개선된다면 개인들의 수익률은 지금보다 훨씬 나아질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입니다.
수익률뿐만 아니라 우리 증시 자체의 한 단계 업그레이드도 가능해 보입니다. 개인투자자들의 유입으로 투자 저변이 확대되고, 그런 만큼 자금 유입도 크고 활발해지게 되면 증시 전체에 긍정적인 영향을 가져올 수 있을 것이란 얘기죠.
자본시장연구원의 황세운 박사는 "아직은 그 정도 단계까지 도달했다고는 평가하기는 어렵다"고 하면서도 "개인들로부터 자금 유입이 꾸준하게 이뤄지고 있고, 당분간은 계속해서 (자금 유입이)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그러면 이게 결국 국내 증시의 업그레이드로 연결될 가능성은 충분하다"고 했습니다.
hoan@newspim.com
저작권자(c)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