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영업자비대위, 전국서 '야간 차량시위'
서울, 부산, 대전 등 9개 시·도서 집결…큰 충돌없이 마무리
일부 장소에선 집결지 진입 막히며 고성 오가기도
자영업자들 "지푸라기라도 잡는 심정으로 나와"
[이미지출처=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아시아경제 송승윤 기자] 정부의 방역 정책에 반발하는 자영업자들이 당초 예고대로 전국 규모의 차량 시위를 열었다. 앞서 서울과 부산, 경남에선 각각 차량 시위가 진행된 적이 있었지만 전국에서 동시에 열린 차량 시위는 이번이 처음이다.
업종별 자영업자 단체들이 모인 ‘코로나19 대응 전국자영업자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는 8일 오후 11시부터 전국 9개 지역에서 차량 시위를 시작했다.
서울 지역 차량 시위에 참가한 자영업자들은 양화대교 북단에 집결해 강변북로와 한남대교를 지나 여의도까지 이동했다. 경찰 통제로 일부 구간에서 정체가 빚어지면서 이들은 자영업자를 구조해달라는 의미를 담아 경적으로 ‘SOS 신호’를 울리기도 했다. 비대위는 앞선 시위 때와 마찬가지로 선두 차량을 중심으로 비상등을 켜고 행렬을 만드는 방식으로 차량 시위를 전개했다. 시위 방법과 이동 경로 등에 대한 안내는 유튜브 라이브 방송과 카카오톡 단체 채팅방에서 실시간으로 이뤄졌다.
비대위는 당초 차량 시위 종료 예정 시점에 여의도 모처에서 입장문을 발표할 예정이었으나 집결이 막히자 더현대 서울과 여의도공원, 국회 둔치 주차장 등 여러 번 집결지를 바꿨다. 그러나 마지막 집결지였던 국회 둔치 주차장 인근에서도 길이 막혔고, 이곳 일대는 경찰 차량과 취재 차량, 시위 참가자들의 차량이 뒤엉켜 1시간 넘게 혼잡이 빚어졌다.
경찰은 이번 집회 역시 불법으로 간주하고 경찰력을 동원해 시위 장소 곳곳에서 참가자들의 집결을 차단했다. 서울경찰청은 서울 도심 곳곳에 임시 검문소를 설치하고 21개 부대를 투입해 해산을 유도했다. 만약의 사태를 대비한 검문검색도 이뤄졌다.
시위 과정에서 큰 충돌은 없었지만 경찰과 일부 참가자들 사이에서 언쟁이 오가거나 과태료를 부과하는 모습도 눈에 띄었다. 결국 비대위는 입장문 발표 없이 국회 인근에서 경적을 울리는 퍼포먼스를 벌인 뒤 종료 예정 시간을 훌쩍 넘긴 오전 2시 50분께가 돼서야 해산했다. 당초 수도권에선 서울과 인천, 경기 남·북부에서 각각 시위가 열릴 예정이었으나 비대위는 서울에서만 차량 시위를 진행하기로 계획을 바꿨었다. 시위 직전 장소를 공개하더라도 경찰의 통제를 피하긴 어렵다는 판단에서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날 서울 지역 차량 시위 현장에는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와 국민의힘 대선주자인 원희룡 전 제주도지사, 최재형 전 감사원장 등이 나와 자영업자들을 지지하는 피켓 시위를 펼치기도 했다.
비수도권에선 충북과 대전, 경남, 부산, 울산, 전북, 광주, 춘천 등 모두 9곳에서 차량 시위가 각각 진행됐다. 비수도권 지역에선 큰 마찰 없이 시위가 진행되면서 참가자들이 수도권에 비해 일찍 해산했다.
이날 시위에 앞서 비대위는 입장문을 내고 "오늘 차량 시위에 나온 이들은 경제적 사망에 이어 헤어 나오지 못할 늪에 우리를 던지는 행위를 더 이상 감내할 수 없는 국민들"이라며 "자영업자 규제 일변도의 방식을 당장 없애고, 시설 중심이 아닌 개인 방역 중심의 위드 코로나 정책을 수립하는데 자영업자들의 의견을 반영할 것을 강력히 요구한다"고 밝혔다.
비대위는 지난 7월 14∼15일 이틀간 각각 차량 750여 대, 300여 대가 모인 서울 도심 시위를 벌인 바 있다. 이어 지난달 25∼26일엔 부산·경남에서 이틀에 걸쳐 차량 시위를 진행했었다.
이들은 ▲치명률 기반 방역수칙 전환 ▲원스트라이크 아웃제 폐지 ▲시설 중심 방역 기준을 개인방역 중심으로 재편 ▲신속한 손실보상 ▲손실보상위원회 자영업자 참여 등을 요구하고 있다.
송승윤 기자 kaav@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