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걸이·팔찌 착용 여성 인골…2017년 남녀 이어 3구째 발굴
성 축조 시기도 기록보다 250년 늦은 ‘4세기 중엽~5세기 초’
경주 왕성인 월성 서성벽 발굴 조사 과정에서 추가로 발굴된 여성 인골. 얼굴 주변에 목에 거는 장식품인 경식과 아래팔 뼈에 팔찌가 보인다.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경주 왕성인 월성(月城) 서성벽에서 인신공희(人身供犧) 추가 사례가 확인됐다. 이 성의 축조 시기가 4세기 전·중엽~5세기 전후(추정)라는 최초 분석 결과도 나왔다.
문화재청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는 “경주 인왕동 월성 서성벽 발굴조사를 하며 2017년 발굴한 50대 남녀 인골에서 북동쪽으로 약 50㎝ 떨어진 곳에서 성인 여성 인골과 동물뼈 등을 추가로 확인했다”고 7일 밝혔다. 여성 인골의 키는 약 135㎝ 전후로 곡옥 모양의 유리구슬을 엮은 목걸이, 팔찌를 착용했다. 연구소는 목제 덮개와 착장 유물 등이 인신공희의 세부 정황이라고 했다. 연구소는 인골 3구의 에나멜 질감 형성 정도를 봤을 때 영양 상태가 좋지 않고, 고급 유물이 없는 점을 볼 때 낮은 신분인 것으로 추정했다. 월성 서성벽은 ‘사람을 제물로 바쳐 제사를 지낸 의식’인 인신공희 사례가 국내에서 유일하게 발견된 곳이다. 2017년 50대 남녀 인골 2구가 나왔다. 연구소는 “(서성벽 인골 3구의) 인신공희는 기초부 공사를 끝내고 성벽을 거대하게 쌓아 올리기 전 성벽과 문지(門址)가 견고하게 축조되길 바라는 차원에서 실시됐다”고 했다. 앞서 1985·1990년 시굴·발굴 조사 때 인신공희 지점에서 북서쪽으로 약 10m 정도 떨어진 곳에서 출처 불명의 인골 23구가 출토됐다. 연구소는 인골 23구 중 2구가 인신공희로 추정된다고 했다.
이성주 경북대 고고인류학과 교수는 “중국 주나라(기원전 1046년~기원전 256년) 때 의례 혁명이 있은 이후로 인신공희 같은 것들은 원시적인 예습이라고 폐기한다. 1000여년 뒤에 신라 경주 한복판에서 이런 의례가 행해졌다는 게 대단히 흥미로운데, 초기 국가 형성기 대중들을 장악하고, 국가에 대한 통제력을 높이는 권력 장악의 측면을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서성벽 인신공희 지점엔 말, 소 등 대형 포유류로 추정되는 동물뼈가 나왔다. 연구소는 “늑골 부위 위주로 선별해 제물로 바쳤다. 인신 희생, 동물 훼기, 토기 매납이 세트로 이뤄졌다”고 했다. 성벽 의례용 동물 훼기(毁棄)나 음용 전용 토기 부장(副葬)은 국내 유일 사례다.
연구소는 1979년 첫 발굴조사 이후 논쟁이 끊이지 않은 월성 축조 시기를 두고 “문헌 기록과 약 250년 차이 나는 4세기 중엽부터 쌓기 시작해 5세기 초에 이르러 완공된 것으로 확인했다”고 밝혔다. <삼국사기> <삼국유사>에는 파사왕 22년(101년)에 월성을 축조하고, 290년 홍수가 나서 무너졌다는 기록이 나온다.
연구소는 “축성 기록 시기는 실제 축조 연대보다 많이 앞당겨졌다”고 했다. 출토 유물 40여점에 대해 가속질량분석기 탄소연대를 측정한 결과다. ‘기저부 조성→중심 토루(土壘)→4차례 성벽 성토’ 등 축성 소요 기간은 50~70년으로 판단됐다. 주보돈 경북대 사학과 명예교수는 “(축성을 시작한 시기를) 4세기 중엽이라고 한다면 사로국 주변 지역을 병합해 신라 국가가 탄생하는 시기였다. 왕호를 마립간이라 하고, 적석목곽분이 경주 분지에 축조되는 시기와 맞물렸다. 초기의 신라 국가사 이해에 많은 도움을 주리라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연구소는 축성 기술과 관련해 기초부 공사에 일정 간격으로 나무 말목을 박은 지정(地釘) 공법과 목재나 식물류를 층층이 쌓는 부엽(敷葉) 공법으로 보강했다고 밝혔다. 월성 지반이 지하수 용출이나 습지에 영향을 받아 연약했기 때문이다.
김종목 기자 jomo@kyunghyang.com
▶ [뉴스레터] 식생활 정보, 끼니로그에서 받아보세요!
▶ [뉴스레터]교양 레터 ‘인스피아’로 영감을 구독하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